美국채 파는 中, 달러 패권에 도전

美국채 파는 中, 달러 패권에 도전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3-20 01:42
업데이트 2023-03-20 06: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유액 12년 새 최소… 금 사들여

이미지 확대
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이 12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투자 매력이 떨어진 이유가 크지만, 중국의 외교안보적 목적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9일 중국 관영매체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8594억 달러(약 1122조원)로 지난해 12월 대비 77억 달러 줄어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중국이 미 국채를 대거 매입한 2010년 6월 이후 최소치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연준의 고강도 통화긴축 기조로 채권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현재 중국은 미 국채를 팔고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다. 지난달 기준 6592만 온스로 1월(6512만 온스)보다 1.2% 증가했다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밝혔다.

물론 미 국채 매도가 중국만의 현상은 아니다. 1월 기준 외국의 미 국채 보유 총액은 7조 4000억 달러로 전년 동기(7조 6600억 달러) 대비 3.4% 감소했다.

그러나 중국의 미 국채 매도에는 전략적 의미가 담겨 있다는 평가다. ‘탈달러’에 시동을 거는 동시에 ‘달러 패권’에 도전하려는 의도가 다분하다는 것이다. 중앙재경대 증권선물연구소 양하이핑 연구원은 “미 정부 부채가 늘어나고 지정학적 긴장이 이어지고 있다. 미 국채 보유량을 줄이는 것은 중국의 안정적 외환 보유를 위한 필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2023-03-20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