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3명 중 2명, 연차 월 1회도 못 썼다

직장인 3명 중 2명, 연차 월 1회도 못 썼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3-03-19 16:31
업데이트 2023-03-19 16: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있는 연차도 못 쓴 직장인들
있는 연차도 못 쓴 직장인들 아이클릭아트


“연차를 쓰려고 해도 ‘왜 종일 쉬냐, 반차나 혹은 반의 반차만 쓰라’고 합니다. 꼭 연차를 쓰려거든 일을 다 해놓고 가라고 하네요.”(직장인 A씨)

정부가 ‘몰아서 일하고, 몰아서 쉬는’ 방식의 근로시간 제도 개편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처럼 많은 직장인은 업무 부담, 경직된 조직 문화로 인해 연차를 자유롭게 쓰지 못하고 있다. 직장인 3명 중 2명은 연차를 평균 월 1회도 못 쓰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나왔다.

직장갑질119가 지난 3~10일 여론조사업체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연차 사용 현황을 물어보니 ‘6일 미만’ 응답자가 41.5%로 가장 많았다고 19일 밝혔다.

‘6일 이상 9일 미만’은 13.3%, ‘9일 이상 12일 미만’ 12.0%, ‘12일 이상 15일 미만’ 13.8%, ‘15일 이상’은 19.4%였다. 직장인 3명 중 2명은 연차를 평균 월 1회도 못 쓴 셈이다.

연령대와 직급이 낮을수록 연차를 자유롭게 쓰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응답자(176명)의 절반이 넘는 인원(55.1%)이 지난해 사용한 연차가 6일이 채 안 된다고 답했다. 직급이 낮은 일반사원(400명) 중에선 연차 사용횟수가 6일 미만이라는 응답 비율이 59.0%였다.

연차 사용횟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응답자 비교에서도 확연히 드러났다. 정규직(600명)은 연차를 6일 미만으로 사용한 응답자가 28.5%에 불과했지만 비정규직(400명)은 61.0%로 절반을 훌쩍 넘었다.

휴가를 자유롭게 쓸 수 없는 이유로는 ‘동료의 업무 부담’(28.2%, 중복 응답)이 가장 많았고 ‘직장 내 분위기 등 조직 문화’(16.2%), ‘본인의 업무 과다’(15.1%) 순이었다.
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