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물과 정치, 낮을수록 귀해진다/정승민 ‘일당백’ 유튜버

[문화마당] 물과 정치, 낮을수록 귀해진다/정승민 ‘일당백’ 유튜버

입력 2023-03-15 23:54
업데이트 2023-03-15 2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승민 ‘일당백’ 유튜버
정승민 ‘일당백’ 유튜버
29년 전 오늘, 시중에서 생수가 팔리기 시작했다. 사회 수업 시간에 돈을 안 내도 쓸 수 있는 재화로 물을 가르칠 수 없게 된 것이다. 인사치레처럼 지천이었던 냉수는 그때부터 상품으로 자리잡았다. 이전에 주한미군 부대에 납품도 하고 서울올림픽 동안 판매하기도 했지만 시중에서 생수를 사기까지는 시간이 걸렸다.

왜 그런가. 수돗물과 생수가 대비되는 것을 꺼려해서다. 정부는 수돗물이 찜찜한 물로 오인받을 것을 우려했다. 게다가 부자와 빈자가 마시는 물까지 달라진다면 위화감이 드는 것은 당연지사다. 그러나 돈이 된다면 조상 묘까지 판다는 시장의 욕망은 생수 시판을 허용하라는 법원 판결을 끌어냈다.

거슬러 올라가면 물을 거래하는 전통도 오래다. 야사의 주인공은 조선 후기 평양 출신 봉이 김선달이다. 해학과 기지가 넘치는 재간꾼인 그는 한양 부자를 골탕 먹이기 위해 대동강가 나루터에서 물을 긷는 물장수들을 꼬드겼다. 술을 사고 돈을 주면서 물지게를 나를 때마다 엽전 한 닢씩을 자기에게 내놓고 가라고 했다. 이를 본 부자가 대동강을 수천 냥에 샀고 낭패를 봤다. 북청 물장수도 유명하다. 수돗물이 보급되기 전까지 서울 양반댁에서 쓰는 물은 이들이 책임졌다. 물통 두 개에 30ℓ가량을 담아 쉴 새 없이 일한 이유는 자식 교육 때문이었다. 일년 내내 물지게를 지던 한 물장수가 어느 날 얼큰히 취해 물통이 반쯤 빈 채로 왔다. 그의 손에는 아들의 경성제대 예과 수석 합격이 실린 신문 한 장이 들려 있었다. 고향이 북청인 전광용 작가가 전하는 훈담이다.

물론 수돗물도 공짜는 아니다. 대한제국 시절 미국과 영국의 장사꾼들은 상수도 시설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물장사에 나섰다. 물장수와 우물 주인들이 급수권을 보상하라고 데모를 했지만 별무신통이었다. 배달 노동자가 된 물장수는 1970년대 말이 되어서야 사라졌다.

이제 생수 시장이 기조원대에 육박한 상황에서 ‘물 쓰듯 하다’는 관용구는 옛말이 되어 간다. ‘유엔이 정한 물 부족 국가’는 과장된 것이지만 수십년 만의 봄 가뭄 사태가 연일 보도될 만큼 물 소비가 미덕인 시대는 지나갔다. 21세기에 물은 ‘블루 골드’로서 석유 이상의 전략적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평가받는 핵심 자원이다.

사실 우리는 오래전부터 물을 예찬해 왔다. 최고의 선이 물과 같다는 ‘상선약수’(上善若水)는 동양에서 으뜸가는 윤리적 경지로 여겨졌다. 도덕경 곳곳에서 물은 정치 지도자의 중요한 덕목으로 비유된다. 만물을 이롭게 하며 다투지 않고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 머물기 때문이다.

냇물과 강물이 흘러 흘러서 왜 바다로 다 모이는가. 지상의 어떤 자리보다 아래에 있기 때문이다. 인간 사회는 다르지 않을까. 권력의 세계에서는 누군가에게 물을 먹으면 정치인으로서의 자질이 없고 물을 먹여야 진정한 정치인이라고 한다. 그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밑바닥과 가시밭을 두루 경험하지 않고서는 대인이 될 수 없다. 무엇보다 공공선을 추구하는 정치의 영역에서 꽃길을 원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자의든 타의든 물을 먹어서 무관이 된 정치인일수록 내일의 왕관을 쓸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실패와 곤경은 오히려 하심(下心)과 겸손을 익힐 귀중한 기회이니 말이다.
2023-03-16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