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바이올린계 대모’ 김남윤 교수 별세

‘한국 바이올린계 대모’ 김남윤 교수 별세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3-13 00:07
업데이트 2023-03-13 0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0여년간 활동… 숱한 제자 길러

이미지 확대
김남윤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김남윤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한국 바이올린계의 대모’로 불리던 김남윤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가 12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74세.

김 교수는 1974년 세계적인 권위의 스위스 티보바가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세계적 연주자로 입지를 다진 뒤 스물여덟 살이던 1977년 경희대 음대 교수로 취임했다. 서울대를 거쳐 1993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창설 멤버로 합류한 뒤 음악원 기악과 교수와 한예종 영재교육원장, 명예교수 등을 지냈다.

강동석, 이경선, 백주영 등 중견 연주자부터 신아라, 클라라 주미 강, 임지영, 양인모 등 젊은 스타 연주자까지 많은 바이올리니스트가 그를 사사했다.

2001년 한국인 연주자로는 처음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심사위원으로 초청받았고, 그 뒤 파가니니 콩쿠르를 비롯한 여러 국제 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 활약했다.

40년 넘게 교육자로 활동하며 한국 클래식 교육의 수준을 한 단계 올리는 데 기여한 김 교수는 ‘바이올리니스트 황금 조련사’로 불린 미국 줄리아드 음악원의 도러시 딜레이(1917~2002) 교수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란 얘기를 들었다. 레슨 실력뿐 아니라 남다른 애정과 성실함, 열정으로 제자들의 존경을 한몸에 받아 왔다. ‘연습을 하루 거르면 자신이 알고, 이틀 빠지면 비평가가 알며, 사흘 안 하면 청중이 안다’가 좌우명이었다. 줄리아드 음대 시절 요리 솜씨가 좋아 가난한 유학생들의 엄마 노릇을 했던 일화로 유명하다. 가난하지만 바이올린을 꼭 배우고 싶다는 여고생을 제자로 받아들여 악기와 악보를 사 주고 레슨 사례도 마다했다. 그 제자는 나중에 수원시향 단원이 됐다. 그는 늘 학생들을 “내가 살아가는 힘”이라고 했고, 교육자가 된 제자들에게는 “학생을 쉽게 포기하지 말라”는 조언을 해 주는 것으로도 유명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는 오는 15일 한예종 음악원장으로 치른다.
임병선 선임기자
2023-03-13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