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복심’ 리창 총리 선출… 강당약정·대만 압박 가속화될 듯[뉴스 분석]

‘시진핑 복심’ 리창 총리 선출… 강당약정·대만 압박 가속화될 듯[뉴스 분석]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3-13 00:07
업데이트 2023-03-13 07: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3연임 ‘시 장기집권 체제’ 출범

전인대 2952명 만장일치로 3연임
계파핵심 딩쉐샹·허리펑 부총리에
국정 전권 장악 ‘1인 체제’ 더 강화

군사위 부주석엔 장유샤·허웨이둥
‘양안전쟁 준비 조기 완료’ 신호로

이미지 확대
시진핑(앞줄 가운데)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1일 베이징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 전체회의에서 리창 신임 국무원 총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베이징 AFP 연합뉴스
시진핑(앞줄 가운데)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1일 베이징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 전체회의에서 리창 신임 국무원 총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베이징 AFP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신중국 성립 이후 첫 ‘3연임’ 국가주석에 오르고, 시 주석의 ‘복심’으로 통하는 리창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 중국 행정부 수반인 국무원 총리로 선출됐다. 마오쩌둥 사후 전례 없는 ‘장기집권 체제’를 완성한 시 주석이 당을 앞세워 국정 전반을 틀어쥐는 ‘강당약정’(强黨弱政) 구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국회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지난 11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14기 1차 회의 네 번째 전체회의에서 리창(서열 2위)을 새 총리로 결정했다. 저장성 출신인 리 총리는 시 주석이 2002∼2007년 저장성 성장과 당서기를 지낼 때 비서실장을 맡았던 ‘측근 중의 측근’이다. 그는 12일 부총리로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인 딩쉐샹과 중앙정치국 위원인 허리펑, 장궈칭, 류궈중을 지명했다. 딩쉐샹과 허리펑도 ‘시진핑계’ 핵심으로 분류된다.
이미지 확대
앞서 시 주석의 3연임은 10일 전인대 대표 2952명의 표결을 통해 반대와 기권이 단 한 표도 없는 만장일치로 가결됐다.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선거에서도 이탈표는 나오지 않았다. 서열 3·4위인 자오러지와 왕후닝 중앙정치국 상무위원도 각각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과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에 올랐다.

공산당 내에서 시 주석 파벌과 각을 세우던 상하이방(상하이 출신 정·재계 인맥) 출신 한정이 국가부주석에 오르고 ‘공산주의 청년단’ 후춘화 부총리가 정협 부주석단(23명)에 합류했지만, 이들 자리는 명예직에 가깝다. 시 주석 계파가 요직을 ‘싹쓸이’한 데 따른 당 안팎의 불만을 다소나마 희석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지난해 10월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시 주석이 ‘당의 핵심’으로 추앙되고 최고 지도부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서열 1~7위)도 그의 측근들로 채워졌다. 이런 상황에서 시 주석의 심복들이 국무원 등 행정부 수뇌부까지 장악하면서 ‘1인 체제’가 더욱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홍콩 관련 업무와 금융·반도체 등 첨단 산업 관리 권한 등이 국무원에서 당으로 이관됐다. ‘시진핑 3기’에서 ‘당정통합’, ‘강당약정’ 기조가 더욱 짙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미지 확대
앞으로 중국의 대만 압박 공세가 더 거세질 것이라는 신호도 감지된다. 지난 11일 전인대는 국가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공산당 중앙정치국(서열 1~24위) 위원인 장유샤와 허웨이둥을 임명했다. 장유샤는 시 주석과 함께 태자당(혁명 원로 자제 그룹) 출신으로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는 등 중국 지도부 중 유일하게 전투 경험을 갖고 있다. 허웨이둥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대만과 한반도 인근을 관할하는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사령관을 맡았다. 베이징 외교가 일각에서는 이번 인사를 ‘장유샤의 실전 경험과 허웨이둥의 대만 지식을 결합해 양안(중국과 대만) 전쟁 준비를 신속하게 마치겠다’는 뜻으로 해석한다.

리 총리는 이날 예상을 깨고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장에 이강 현 행장을 재임명했다. 재정부장과 상무부장, 과학기술부장 등도 동반 유임됐다. 중국 경제 정책의 연속성과 안정성을 강조한 인사로 풀이된다. 베이징대 경제학과를 나온 이 행장은 1992년 인디애나주립대에서 종신 교수직을 보장받았던 지미파(知美派)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2023-03-13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