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16위 은행 SVB는 왜 망했나

美 16위 은행 SVB는 왜 망했나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3-03-13 00:06
업데이트 2023-03-13 06: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기자금 채권 투자
고금리에 손실 커져

이미지 확대
1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에 위치한 실리콘밸리은행(SVB) 본사에 있는 로고.  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에 위치한 실리콘밸리은행(SVB) 본사에 있는 로고.
연합뉴스
10일 파산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은 지난 40년간 미 실리콘밸리 기업의 돈줄이었으며 자산 규모로는 미국 내 16위 은행이다.

SVB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넘치는 유동성을 발판 삼아 끌어모은 단기 자금을 장기 자산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2021년 1160억 달러(약 153조 4680억원)이던 자산 규모를 1년 새 2110억 달러(279조원)까지 초고속으로 불렸다. 이사이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손실이 가중됐다.

초과현금을 주로 채권에 투자한 SVB의 미 국채 등 증권 보유액은 1년 새 다섯배 가까이 늘었고, 미국 모든 은행 중에서 자산 대비 증권 투자 비율(55%)이 가장 높았다.

●WSJ “규제 당국이 위험한 투자 방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일(현지시간) SVB가 한순간 무너진 건 위험한 투자를 했음에도 규제 당국이 방치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SVB 붕괴의 발단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 국채 가격이 폭락한 데서 비롯됐다. SVB는 채권 손실을 메우기 위해 20억 달러 이상의 주식 발행을 통해 자본 조달에 나선다는 내용의 서한을 지난 8일 주주들에게 보냈고, 회사 주가가 곤두박질쳤다. 예금주들은 자신들이 맡긴 돈의 90%가 금융당국의 보호를 받지 못하자 겁에 질린 나머지 단 이틀 사이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에 나섰다. 예치금을 돌려주기 위해 18억 달러(2조 3000억원)의 손실까지 감수하고 210억 달러(27조 7830억원)의 채권을 매각했다가 결국 파산을 맞았다.

●예금 90% 보호 못 받아… 뱅크런 유발

CNBC는 이날 SVB의 2018년 기준 평균 연봉은 25만 683달러(3억 3000만원)로 상장은행 중 가장 높았고, 지난 10일 파산 발표 불과 몇 시간 전 최대 14만 달러(1억 8500만원)의 성과금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최영권 기자
2023-03-13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