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호텔 결혼식은 축의금 더 내는 게 예의?”…미혼남녀 ‘동의 못해’

“호텔 결혼식은 축의금 더 내는 게 예의?”…미혼남녀 ‘동의 못해’

이보희 기자
입력 2023-03-06 13:59
업데이트 2023-03-06 15: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에나래·온리-유, 미혼남녀 518명 대상 설문

이미지 확대
결혼식 이미지(위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 DB
결혼식 이미지(위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 DB
호텔 결혼식에 참석할 경우, 식대를 고려해 보통 예식장에서 치러지는 결혼식보다 더 높은 금액의 축의금을 내야 한다는 주장에 미혼남녀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6일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는 재혼 결혼정보업체 온리-유와 공동으로 지난 2월 27일∼3월 4일 전국 결혼 희망 미혼남녀 518명(남녀 각 25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지인의 결혼 축의금 수준을 정하는 기준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란 질문에 대해 남성 34.4%, 여성 36.3%가 ‘고급 호텔에서 할 때 더 많이 낸다’를 택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응답자 3명 중 한 명은 “지인이 고급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린다는 이유로 축의금을 더 많이 내야 한다는 생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한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남성의 경우 ‘부부 동반일 때는 더 많이 낸다(28.2%)’, ‘결혼식 참석 여부에 따라 금액이 달라진다(21.2%)’ 순으로 답했으나, 여성은 ‘결혼식 참석 여부에 따라 금액이 달라진다(25.4%)’, ‘부부 동반일 때는 더 많이 낸다(20.1%)’ 순으로 조사됐다. 이어 ‘받은 만큼 준다(남 16.2%, 여 18.2%)’는 답변이 4위로 남녀 모두 가장 적었다.

‘결혼식을 고급 호텔 등 호화로운 곳에서 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서는 남녀의 생각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응답자들은 ‘결혼은 인륜지대사이기 때문(남 35.1%, 여 37.5%)’과 ‘사회적 지위 과시(남 34.8%, 여 35.1%)’를 나란히 1, 2위로 꼽았다. ‘평소 생활 수준 반영(남 17.0%, 여 16.2%)’과 ‘평소 은혜 입은 사람들에게 보답(남 13.1%, 여 11.2%)’ 등의 답변은 3, 4위에 올랐다.

‘결혼식 주인공 입장에서 달갑지 않은 하객’에 대한 물음에는 남녀가 전혀 다른 대답을 내놨다. 남성은 ‘평소 스트레스를 주는 사람(32.1%)’ ‘외모가 본인보다 출중한 사람(25.1%)’ ‘과거 애인 혹은 짝사랑 상대(21.2%)’ ‘행색이 초라한 사람(17.3%)’ 등의 순으로 답했다.

반면 여성은 ‘외모가 본인보다 출중한 사람(37.1%)’ ‘과거 애인 혹은 짝사랑 상대(24.3%)’ ‘평소 스트레스를 주는 사람(18.9%)’ ‘치장을 과도하게 많이 한 사람(13.5%)’의 순으로 조사됐다.

“신랑·신부 재력에 따라 식장 선택…하객에 부담 전가 이해 안 돼”
최근 결혼식 축의금 적정 액수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지난 1월에는 ‘호텔 결혼식 축의금 많이 내는 이유’라는 글이 화제에 오른 바 있다.

당시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 올라온 글에는 현재 학생이라고 밝힌 글쓴이가 “아직 축의금 내본 경험은 없지만, 호텔 결혼식은 축의금을 많이 내는 게 예의라는 글을 보고 놀랐다. 결혼식장을 선택하는 건 결혼하는 사람들인데 왜 손님들이 축의금을 더 많이 내야하냐”며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

이에 많은 이들이 “신랑·신부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 결정한 곳인데 하객에게 부담 준다면 잘못이다”, “축의금=밥값이 아니다. 의미가 변질된 것 같다”, “호텔에서 결혼할 정도면 축의금 얼마 했는지 신경 안 쓸 듯”이라며 호텔 결혼식이라고 축의금을 더 많이 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다만 일부는 “호텔 예식은 식사 단가가 높으니 식사비용 생각해서 내 마음 편하려고 더 많이 낸다”, “결혼식에 안 가고 축의금만 보낸다” 등의 의견을 전하기도 했다.
이보희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