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올려라, 말아라’ 치솟는 밥상 물가에 외식·식품 업계 눈치

‘올려라, 말아라’ 치솟는 밥상 물가에 외식·식품 업계 눈치

김현이 기자
김현이 기자
입력 2023-03-04 09:00
업데이트 2023-03-04 0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의 한 롯데리아 매장에서 소비자가 햄버거를 들고 있다. 2023.1.26 연합뉴스
서울의 한 롯데리아 매장에서 소비자가 햄버거를 들고 있다. 2023.1.26 연합뉴스
밥상 물가가 치솟으면서 소비자의 한 끼 가격 부담이 높아지는 가운데 외식·식품업계도 내심 울상을 짓고 있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햄버거 프랜차이즈 ‘맘스터치’는 가맹점주의 요청에 따라 오는 7일부터 햄버거 등 43종의 상품 가격을 평균 5.7% 올리기로 했다. 가격으로 따지면 300~400원 수준이다.

이로써 주요 햄버거 프랜차이즈인 롯데리아, 맥도날드, 노브랜드, KFC 등의 가격 인상 행렬에 맘스터치도 합류하게 됐다. 저렴한 가격에 한 끼 식사 대용품으로 인식되는 햄버거 가격이 연거푸 오르자 소비자들은 적잖은 부담을 느끼는 모습이다.

맘스터치는 이번 가격 인상의 배경으로 가맹점주들의 거센 요구를 외면하기 어려웠다는 설명을 내놨다. 상품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 지갑이 닫히기 때문에 매출 타격을 우려하는 회사 입장에서도 달갑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사진은 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식당에서 주방장이 식사 준비를 하고 있다. 2023.2.6 뉴스1
사진은 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식당에서 주방장이 식사 준비를 하고 있다. 2023.2.6 뉴스1
하지만 최근 매장을 운영하는 가맹점주들이 인건비나 원자재 비용에 허덕이게 돼 본사에 가격 인상을 강하게 요구했다는 후문이다. 맘스터치의 매장 수는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1373곳인데 이 중 직영점은 3곳에 불과하다. 롯데리아도 매장의 80% 이상을 가맹점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지난달 햄버거 가격을 올리면서 ‘가맹점주 수익 보장’을 이유로 들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 판매가격이 오른 것보다 코로나19 팬데믹이나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가맹점주들이 사들이는 식자재 가격 인상률이 더 높았다”라면서 “사실상 프랜차이즈 수익성은 악화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생수·고추장…정부 단속에 멈춘 식품가 도미노 인상
지난해부터 가격 인상 도미노 현상이 이어진 식품업계도 최근 정부의 강력한 가격 인상 자제 요구 이후 숨을 죽이고 있다.

지난달 말 기획재정부와 국세청이 주류업계에 가격 인상 자제를 촉구하며 실태 조사에 나선 데 이어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도 식품업계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상반기 가공식품 가격의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CJ제일제당, 풀무원 등 대형 식품업체는 아예 앞서 예정했던 일부 품목의 판매가격 인상안을 철회했다. CJ제일제당은 예정대로라면 원부자재 부담을 고려해 이달 1일부터 가쓰오우동, 찹쌀떡국떡 등 제품 판매 가격을 평균 9.5%씩, 고추장 등 조미료와 장류 6종 가격은 최대 11.6% 인상할 계획이었다.
이미지 확대
지난 2월 8일 오후 서울의 한 이마트24에서 소비자가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월 8일 오후 서울의 한 이마트24에서 소비자가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CJ제일제당은 “원가 및 비용 부담은 여전하지만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기 위해 편의점 판매 제품의 가격을 인상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라고 설명했다.

풀무원도 ‘풀무원샘물’과 ‘풀무원샘물 워터루틴’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5%씩 인상할 예정이었으나 지난달 27일 이를 철회했고, 주류업계에서도 하이트진로 등이 당분간 소주 가격을 인상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시장의 자율성을 강조하던 정부가 식품 등 일부 품목에 직접 개입하며 고물가 잡기에 나서자 볼멘소리도 나온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갖고 있는 규제 카드가 많기 때문에 요즘 같은 분위기에선 인상이란 얘기는 당분간 꺼낼 수 없이 눈치를 봐야 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김현이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