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노인 일자리 확대에 고용지표 ‘착시’… 제조업 일자리, 속에선 벌써 무너졌다

노인 일자리 확대에 고용지표 ‘착시’… 제조업 일자리, 속에선 벌써 무너졌다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3-02-21 18:35
업데이트 2023-02-22 1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월 제조업 취업자 3만 5000명 감소
60세 이상만 9만명 늘고 전 세대 감소
15~59세 핵심 노동층은 12만명 줄어
고용지표보다 실제 고용상황 더 나빠

이미지 확대
월별 제조업 취업자 증감 추이 및 1월 연령별 제조업 취업자 증감
월별 제조업 취업자 증감 추이 및 1월 연령별 제조업 취업자 증감
한국 경제의 버팀목이자 고용 지표의 핵심인 제조업의 취업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세계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부진이 심화한 탓이다. 특히 경제활동 주 연령층인 60세 미만 일자리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60세 이상 고령층 일자리 확대로 버텨 온 제조업 고용 지표도 결국 15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21일 통계청의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제조업 취업자 수는 443만 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만 5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방역 조치 해제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던 제조업 고용이 새해 들어 다시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제조업 취업자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한 건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1년 10월(-1만 3000명) 이후 처음이다.

제조업 취업자 수를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60세 이상만 지난해 같은 달보다 9만 1000명 늘었을 뿐 그 이하 세대는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5~29세는 4만 6000명, 30대는 2만 6000명, 40대는 3만 5000명, 50대는 1만 9000명씩 줄었다. 제조업체들이 인건비 지출을 줄이려고 단기 노무직에만 고령자 고용을 늘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60세 이하 세대에서 감소한 취업자 수를 모두 더하면 12만 6000명에 달했다. 경제를 실질적으로 이끄는 핵심 연령층의 고용이 심각한 수준으로 무너졌다는 의미다. 그동안 60세 이상 고령층 일자리의 비대칭적인 증가가 악화한 제조업의 고용 상황을 직시하지 못하도록 착시를 일으켰던 것이다.

반도체·자동차·철강으로 대표되는 제조업 고용 상황이 악화 일로를 걷는 건 경기 둔화 여파로 경제의 동력원인 수출이 부진에 빠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째 이어지는 수출 감소가 제조업의 고용 악화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수출 부진 여파가 지난 1월 제조업 취업자 수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조업 취업자 감소 추세는 당분간 고착화할 가능성이 크다. 수출 감소의 여파가 2~3개월 시차를 두고 고용 시장에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해서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우리나라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9% 급감하며 거의 반 토막 났다. 특히 한국의 반도체 수출액 감소 폭은 지난해 11월 기준 36.5%로 경쟁국인 일본(10.2%)과 대만(3.9%)보다 훨씬 큰 상황이다. 반도체뿐만 아니라 무선통신기기(-25.0%), 정밀기기(-15.6%), 가전제품(-38.0%), 컴퓨터 주변기기(-55.5%) 수출액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59억 87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이달까지 12개월 연속 무역 적자 행진이 사실상 확정됐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81만 6000명 늘어난 전체 취업자 수가 올해에는 10만명 안팎 늘어나는 데 그치며 8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경기와 고용 상황이 상반기에 악화했다가 하반기에 반등하는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결국 제조업 고용은 올해 상반기 내에 회복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의미다.

수출 효과를 높이려면 제조업을 서비스화하는 방향으로 산업 구조가 바뀌어야 한다는 진단이 나온다. 권태현 한은 경제통계국 전문부국장은 ‘부가가치 기준으로 본 한국·미국·중국·일본 4개국간 교역 구조의 분석’이라는 논문에서 “우리나라는 부가가치율이 낮은 재화를 중심으로 한 대외 교역 비중이 높기 때문에 수출 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하는 한편, 디자인·광고·소프트웨어 등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지식서비스 비중을 확대해 수출의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무역경로·공급망 다변화도 제조업의 고용 회복을 위한 무역수지 개선 방안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정부는 반도체·핵심 광물·식량·에너지 자원의 안정적인 교역을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공급망기본법) 입법에 나섰다. 제정안은 공급망안정화위원회를 설치하고 공급망안정화 기금을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이날 공급망기본법 공청회를 개최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세종 이영준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