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경원 불출마로 김기현·안철수 2파전…유승민 출마 여부 변수로

나경원 불출마로 김기현·안철수 2파전…유승민 출마 여부 변수로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23-01-25 17:28
업데이트 2023-01-25 17: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金 “고뇌에 찬 결단에 경의를”…“羅 지지세, 안 의원으로 쏠릴 가능성 없어”
安 “안타깝다. 한번 뵙고 말 나눌것”…“양자 대결에게 이미 우위”

이미지 확대
15일 국회에서 열린 서울시 양천구 해누리타운에서 열린 국민의힘 서울 양천갑 당원대회에서 당대표에 출마한 김기현 의원(오른쪽)과 안철수 의원이 자리에 앉아 있다 2023.1.15  연합뉴스
15일 국회에서 열린 서울시 양천구 해누리타운에서 열린 국민의힘 서울 양천갑 당원대회에서 당대표에 출마한 김기현 의원(오른쪽)과 안철수 의원이 자리에 앉아 있다 2023.1.15 연합뉴스
나경원 전 의원이 25일 국민의힘 3·8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전대가 김기현·안철수 의원의 2파전으로 치러지게 됐다. 두 의원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유승민 전 의원의 출마 여부가 변수로 남았다.

여론조사에서 줄곧 1위를 차지하다 최근 3위로 내려온 나 전 의원을 지지하던 당심이 어떤 후보로 갈지가 최대 관심사다. 김·안 의원 측은 나 전 의원의 불출마가 각각 자신들에게 유리할 것으로 해석했다. 김·안 의원도 각각 결선투표 없이 1차에서 과반을 얻을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나 전 대표의 결단을 무거운 마음으로 지켜본다. 고뇌에 찬 결단에 경의를 표한다”고 평가했다. 나 의원은 당원이 가장 많은 대구·경북(TK)에서 지지세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만큼 김 의원은 나 전 의원의 지지세를 흡수하기 위해 TK에 공을 들일 방침이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나 전 의원은 ‘죽었다 깨도 반윤은 안 될 것’이라던 범윤인데, 나 전 의원을 지지하는 당원이 색깔이 전혀 다른 안 의원으로 쏠릴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했다.

반면 안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말로 안타깝다”며 “나 전 의원께서 원하는 방향이 수도권에서 승리 아니냐. 1차 투표에서 과반을 해서 끝내겠다는 각오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윤상현 의원과의 ‘수도권 연대론’을 강조하며 “적절한 시기에 한 번 만나 뵙고 말씀을 나누고 싶다”며 나 전 의원에게 손을 내밀었다. 안 의원 측 관계자는 “가상 양자 대결에서 안 의원이 이미 우위를 점한 데다 상승세를 탄 만큼 양자 대결 구도가 되면서 안 의원에게 유리해졌다”고 해석했다.

나 전 의원의 출마를 가정한 여론조사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는 안 의원이 대부분 우세했다. YTN이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22~23일 전국 성인 2002명(국민의힘 지지층 78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의 양자 대결에서 안 의원 49.8%, 김 의원 39.4%로 나타났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19% 포인트다. 반면 뉴데일리·NGO저널이 KOPRA(한국여론평판연구소)에 의뢰해 16~17일 국민의힘 지지층 979명을 대상으로 한 가상 양자 대결에서는 김 의원 50%, 안 의원 41%로, 김 의원이 우세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1% 포인트다. 두 조사 모두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다음 달 2일 시작하는 후보 등록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유 전 의원의 출마 여부는 마지막 변수로 남아 있다. 유 전 의원은 페이스북과 언론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비판하는 메시지를 내놓다가 지난 15일 이후로 잠잠한 상황이다. 당내에서는 출마 가능성이 작다고 본다. 당원 100%로 치러지는 데다 김·안 의원에 비해 낮은 지지율 등을 고려하면 출마 가능성은 점점 낮아진다는 분석이다.
이민영·최현욱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