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갯벌 탄소 흡수원 블루카본의 보고

전남 무안갯벌 탄소 흡수원 블루카본의 보고

류지홍 기자
류지홍 기자
입력 2022-12-19 16:22
업데이트 2022-12-19 16: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염생식물 군락 총 14만 3249㎡에 칠면초와 창질경이 등 56종 확인

이미지 확대
무안갯벌 칠면초 전경
무안갯벌 칠면초 전경
전남 무안 갯벌의 염생식물 모니터링을 진행한 결과 해홍나물과 나문재, 칠면초 등 56종의 염생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 무안군이 최근 무안 갯벌도립공원 내 염생식물을 조사한 결과 염생식물 군락은 총 14만 3249㎡이며, 칠면초 군락이 7만 953㎡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기존 무안갯벌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버들명아주와 유럽점나도나물, 창질경이 등 56종이 확인됐다.

한반도 연안 일대에 130여 종이 서식하는 염생식불은 바닷가 등 염분이 많은 땅에서 서식하면서 오염물질 정화와 해풍이나 조류로 인한 해안선 침식을 막는 역할을 하며,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인 블루카본의 주요 흡수원으로 온실가스 저감과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안정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무안갯벌도립공원은 2008년 12월 갯벌도립공원 1호로 지정돼 보전 관리 되고 있으며, 해양보호생물인 흰발농게와 대추귀고둥, 알락꼬리마도요·흰물때새 등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군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무안 갯벌 염생식물 56종의 사진과 특징을 담은 무안 갯벌 염생식물 가이드북을 발간해 유관기관 등에 배포, 생태교육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며 “갯벌도립공원 1호인 무안갯벌이 체계적으로 보호와 관리될 수 있도록 철새와 저서동물 등의 모니터링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무안 류지홍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