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경기콘텐츠코리아랩, ‘창작자 주간‘ 개최…특강 및 전시 진행

경기콘텐츠코리아랩, ‘창작자 주간‘ 개최…특강 및 전시 진행

입력 2022-11-22 12:00
업데이트 2022-11-22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콘텐츠코리아랩 제공
경기콘텐츠코리아랩 제공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경기콘텐츠코리아랩(경기콘랩)은 올해를 마무리하는 행사로 지난 14일부터 18일까지 ‘창작자 주간’을 진행했다. 특히 18일에는 메인 행사로 특강과 크리에이터 토크를 비롯한 우수 성과 전시가 진행돼 각 분야의 전문가와 작가들이 함께 창작을 고민하고 이야기를 나눴다.

메인 행사의 첫 번째 순서로 진행되는 웹소설 아카데미에서는 4명의 강연자 강연이 진행됐다. 재겸 작가는 ‘매력적인 캐릭터 만드는 법, 쉬운 캐릭터 만드는 법’을 통해 소설의 주·조연 캐릭터를 설정하는 법과 캐릭터를 둘러싼 서사를 쌓아가는 노하우를 전했다. 김환철 문피아 의장의 ‘웹소설 작가로 성공하려면 어떤 글을 써야하나?’ 강의는 웹소설의 흐름을 살펴본 전문가의 시선으로 창작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했다.

김법성 RS미디어 팀장(판타지무협)은 ‘웹소설 현재 시장의 흐름, 출판사가 선호하는 작가란?’ 이라는 주제를 통해 웹소설 작가로 이제 막 첫걸음을 시작한 웹소설 아카데미 수강생 및 관심자들에게 전문 작가 성장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강연을 했다. 이어진 차소희 작가의 ‘웹소설이란 무엇인가: 웹소설 작가로 살아남기’ 주제의 강연에서는 현직 작가가 고민하는 점을 창작자들과 나누며 창작 과정의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멘토로 응원이 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후 진행된 창작모꼬지·창작발전소 세부 행사에서는 교육생과 참가자를 대상으로 성과를 마무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창작모꼬지 행사에서는 교육생의 축하공연을 비롯하여 전문가 특강과 크레에이터 토크를 진행했다. NFT(대체불가토큰)가 문화예술 영역에서 가지는 의미를 함께 살펴보고, NFT 작가들의 고민과 문화예술에서 작품성을 인정받기 위한 NFT의 가치를 논의하는 시간이었다. 창작발전소 행사에서는 우수 지원사의 영상 상영회를 진행하고, 간담회를 통해 작품의 설명과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서는 메인 행사 외 우수 성과 전시를 함께 진행했다. 경기콘랩의 한 해를 빛낸 창작자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자리로, ‘별숲 전시회’라는 주제로 펼쳐졌다. 구역별로 경기콘랩의 다양한 사업 성과와 이벤트를 준비해 모두가 다채롭게 즐길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특히 ‘별숲 전시회’ 파트너이자 전시 동선을 소개하고 작품을 보여주는 스마트 디지털 캔버스인 넷기어의 ‘뮤럴’을 곳곳에 설치해 전시장과 창작자의 작품을 빛내며 풍성한 전시회를 만들었다. 뮤럴은 창작자 주간 이후 진행할 NFT 작가전에서도 공간을 빛낼 예정이라고 경기콘랩은 전했다.
경기콘텐츠코리아랩 제공
경기콘텐츠코리아랩 제공
NFT 작가전은 ‘왜 지금 NFT인가’를 주제로 개최된다. NFT와 관련한 각 분야의 창작 현장에서 활동 중인 작가들의 작품과 이야기를 통해 NFT의 과거, 현재, 미래에 관한 아티스트 토크를 갖는다. 오프라인 토크는 전시 기간 중 10명 이내의 소규모 인원을 모집해 작가와 관람객이 NFT에 관한 심도 깊은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온라인 토크는 개방형 보이스 채널을 활용해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메인 전시는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팝업 갤러리’ 공간에서 20여 대의 디지털 액자 ‘뮤럴’을 통해 전시된다. 온라인에서도 작품을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쇼케이스(웹사이트)에서 전시를 병행하여 풍성할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에서는 올해 ‘웹소설 아카데미’, ‘창작모꼬지’, ‘창작발전소’, ‘창작충전소’, ‘메타버스제작지원’, ‘(홍보)영상제작지원’ 등의 사업을 통해 창작자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펼치고 있다.
온라인뉴스팀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