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태원 블루’ 속 4년 만의 붉은 함성… 다시, 대~한민국! 광장에 울려 퍼질까

‘이태원 블루’ 속 4년 만의 붉은 함성… 다시, 대~한민국! 광장에 울려 퍼질까

김정화, 곽소영, 이하영 기자
입력 2022-11-21 22:08
업데이트 2022-11-22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드컵 24일 첫 경기 앞두고… 광화문 거리 응원 ‘갑론을박’

이미지 확대
거리응원 연합뉴스
거리응원
연합뉴스
대한민국 축구대표팀의 2022 카타르월드컵 조별리그 첫 경기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거리응원을 놓고 시민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나뉘고 있다.

2002 한일월드컵 당시 국민을 하나로 만든 거리응원을 통해 이태원 참사로 충격에 빠진 우리 사회를 다시 희망으로 물들일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참사 충격에서 채 벗어나지 못한 상황에서 마냥 신나게 즐기기엔 이르다는 신중론도 만만찮다.

●서울시, 안전 우려에 허가 심사숙고

서울 종로구는 21일 축구대표팀 응원단 ‘붉은악마’가 제출한 거리응원 안전 계획서에 대해 재심의 결정을 했다. 종로구는 붉은악마 측에서 준비한 안전인력이 적고 1만명이 넘었을 때 대책이 없다는 점, 사고발생 시 소방도로가 확보되지 않았다는 점 등을 들어 안전대책 보완을 요청했다. 붉은악마 측이 예상한 참여 인원은 조별리그 예선전이 열리는 24일과 28일 각 8000명, 12월 2일 1만명이다.

종로구가 재심의 결과를 서울시에 통보하면 시는 광화문광장 자문단 회의를 열고 광장 사용 허가를 최종 결정한다. 시 관계자는 “안전관리 계획을 꼼꼼히 살펴 승인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응원전을 펼치겠다는 붉은악마 측 요청을 받아들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미지 확대
카운트다운 시작된 팬심
카운트다운 시작된 팬심 21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의 코니시 로드에 설치된 ‘2022 카타르월드컵’ 카운트다운 시계 앞에 축구 팬들이 모여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도하 AP 연합뉴스
●“위드코로나 첫 축제” “아직은 일러”

앞서 붉은악마는 “우리만의 방식으로 진정한 위로와 추모를 건네는 것이 더 옳은 길이라고 생각했다”며 거리응원을 추진하기로 했는데, 일각에선 이태원 참사로 인해 축구협회도 거리응원을 취소한 마당에 굳이 해야만 하느냐는 비판적 목소리도 나왔다.

이중근 붉은악마 의장은 “5만 5000여명이 광장에 모인 2018 러시아월드컵 당시 안전요원과 안내요원이 약 100명이었는데 이번에는 두 배 수준으로 늘릴 것”이라면서 “당일 광화문역 지하철 무정차 통과에 필요하면 일부 차로 점용 방안 등도 의논하고 있다”고 말했다. 직장인 황병수(31)씨는 “원래 축구를 하는 것도, 보는 것도 좋아한다. 고향인 울산에서도 월드컵 때면 경기장을 찾아 단체관람과 응원을 할 정도”라며 “이번에는 광화문에서 수많은 사람들과 함께 활기찬 기운을 느끼고 싶다”고 붉은악마를 응원했다.

2022 베이징올림픽, 2020 도쿄올림픽 등이 모두 코로나19 여파로 ‘반쪽짜리’ 응원에 그치면서 이번엔 제대로 경기를 즐기겠다는 이들도 있다. 최근 카타르행 항공권을 예매한 직장인 김하은(26)씨는 “침체된 분위기이긴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국가대표 선수들이 힘든 국민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태원 참사의 아픔이 가시지 않은 터에 대규모 인원이 다시 모여 함께 응원하는 건 이르다는 의견도 많다. 취업준비생 최모(25)씨는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지 한 달도 되지 않았고 책임자 규명 등이 남았는데도 사람들이 벌써 참사를 잊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며 “지난해 도쿄올림픽 땐 응원하는 마음으로 우리나라 경기를 챙겨 봤는데 이번엔 영 관심이 안 간다”고 쓴 표정을 지었다. 대학생 문모(22)씨는 “학교에서 경기 단체관람 신청을 받았는데, 참사가 일어난 지 얼마나 됐다고 이런 응원전을 하나 싶은 생각이 먼저 들었다”며 “물론 선수들을 응원하지만 이전처럼 적극적으로 나서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김정화·곽소영·이하영 기자
2022-11-22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