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부, 이태원 참사 당시 ‘무용지물’ 재난통신망 활성화

정부, 이태원 참사 당시 ‘무용지물’ 재난통신망 활성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11-11 15:34
업데이트 2022-11-11 16: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덕수 국무총리가 10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서 이태원 사고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0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서 이태원 사고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이태원 참사 당시 작동하지 않아 무용지물이 됐던 재난안전통신망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11일 사고 현장에서 재난관리기관 간 재난안전통신망을 이용한 상호통신이 미흡했다면서 “운영 매뉴얼에 맞게 활용되지 않은 원인을 파악한 후 현장 중심의 교육과 사용기관 합동훈련을 지속해서 실시해 재난안전통신망 이용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 소방, 해경 등 재난관련기관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무선통신망이다. 기존에는 경찰청, 소방재청, 자치단체 등이 각각 초단파(VHF)와 극초단파(UHF) 무전기, 주파공용통신(TRS) 등을 사용해왔다.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구조에 나선 소방과 해경이 서로 다른 통신망을 써 연락이 잘 안되는 바람에 희생이 커지자 정부는 대규모 혈세를 투입해 4세대 무선통신기술(LTE) 기반 전국 단일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했다. 지난 7월에는 재난안전 관련 25개 기관이 모여 합동 훈련도 실시했다. 하지만 정작 이태원 참사 구조 과정에선 재난안전통신망이 제대로 활용되지 않았다.

정부는 또 전날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밀집 인파사고 예방관리 체계를 마련하고자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동통신 3사의 기지국 기반 위치신호데이터(유동인구), 교통기관의 대중교통데이터 등을 활용한 시스템”이라고 설명하며 “다중밀집 인파를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체계를 빠른 시일 내에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태원 참사 외국인 사망자 1명은 이날 본국으로 송환됐고, 남은 2명은 송환 일정을 협의 중이다.
이현정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