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억씩 싸게 급매로 파느니 자식 주렵니다”…올해 주택 증여 비중 역대 최고

“몇억씩 싸게 급매로 파느니 자식 주렵니다”…올해 주택 증여 비중 역대 최고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2-11-09 15:44
업데이트 2022-11-09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노원구가 가장 증여 비율 높아

올해 1∼9월 전국 주택 전체 거래에서 증여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절대적인 증여 건수는 줄었지만, 전체 주택 거래에서 증여 비중은 커진 것이다. 지난해 대비 몇억씩 낮춰서 내놔야 집이 나가는 데다 내년 증여 취득세 기준 변경까지 맞물려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된다.

9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9월 전국 주택 거래량 74만 8625건 중 증여 거래량은 6만 5793건으로 전체의 8.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1∼9월 기준)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이미지 확대
서울 주택 전체 거래 대비 증여 비중
서울 주택 전체 거래 대비 증여 비중
주택 증여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이다. 서울은 올해 1∼9월 주택 거래량 총 7만 9486건 중 증여 거래 건수는 9901건으로 전체의 12.5%에 달했다. 서울 역시 역대 최고치다. 서울 주택 전체 거래 대비 증여 비중은 2015년 3.6%에 불과했지만, 집값이 뛰면서 2019년 10.9%, 2020년 12.0%, 지난해 12.2%까지 치솟은 바 있다. 올해는 지난해 기록을 뛰어넘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증여 비중이 높은 구는 노원구로 올해 1∼9월 증여 비중이 27.8%로 주택 거래 4건 중 1건 이상이 증여로 확인됐다. 또 종로구(21.1%)와 용산구(19.5%), 서대문구(18.4%), 중구(16.1%), 송파구(15.8%) 등의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지방에서는 대구의 증여 비중이 11.9%로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고, 전남(11.6%), 제주(11.4%), 대전(9.4%), 부산(9.0%) 등의 순이었다.

증여 비중이 커진 것은 부동산 가격 하락기에 급매로 파느니 차라리 증여하자는 심리적 요소와 내년부터 증여로 인한 취득세 기준이 시가표준액에서 시가인정액으로 바뀌면서 세금이 늘어날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시가표준액은 정부가 부동산에 대한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공시하는 가격(공시지가)으로 통상 시세의 60~70% 수준이지만, 증여 취득세를 시가인정액으로 산정하면 세액이 증가한다.

윤수경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