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콘텐츠 77%↑ 네이버 3분기 사상최대 매출… 영업이익 5.6%↓

콘텐츠 77%↑ 네이버 3분기 사상최대 매출… 영업이익 5.6%↓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2-11-07 10:30
업데이트 2022-11-07 1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출 2조 573억, 영업익 3302억
웹툰 중심으로 해외 시장 승부수
IDC 등 투자로 영업이익은 줄어

네이버 사옥. 연합뉴스
네이버 사옥. 연합뉴스
웹툰 등 콘텐츠 사업으로 해외진출에 승부를 건 네이버가 이 부문 매출을 급성장시키며 3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올렸다. 하지만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등 시설·인프라 투자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네이버는 지난 3분기 매출 2조 573억원, 영업이익 3302억원의 실적을 7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3분기(1조 7273억원)보다 19.1% 늘어났으며, 영업이익은 5.6% 감소했다. 네이버가 3분기 매출 2조원을 넘긴 것은 2020년 3분기 라인이 소프트뱅크와 경영 통합을 하면서 이 회사 실적이 2021년부터 네이버 실적에서 빠진 이래 처음이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콘텐츠 부문 성장이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7.3%나 늘어난 3119억원을 기록했다. 웹툰의 글로벌 통합 거래액은 1년 새 18.1% 오른 4570억원이었다.

네이버는 최근 수년 간 네이버웹툰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 사업으로 해외시장에 승부수를 던졌다. MZ세대가 주요 소비자로 급성장하고 있는 이 시장은 광고·쇼핑 등 현재 국내 시장에 한정돼 있는 네이버의 다른 사업부문과 달리 해외진출 가능성이 넓게 열려 있다. 한 예로 네이버웹툰에서 흥행한 조석 작가의 ‘문유’는 중국에서 영화로 만들어져 지난 7월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네이버는 지난해 캐나다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하는 등 해외 콘텐츠 시장 진출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 왔다.
이미지 확대
네이버 웹툰 ‘1초’
네이버 웹툰 ‘1초’
네이버는 클라우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업부문에서 3분기 고른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검색플랫폼 매출은 여전히 전체 실적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 매출 896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8% 늘었지만 전 분기와 비교하면 1% 감소해, 정체된 모습을 보였다.

상거래 부문 매출은 1년 새 19.4% 늘어난 4583억원으로 보고됐다. 커머스 광고, 브랜드스토어, 멤버십 가입자가 증가한 덕분이다. 3분기 동안 네이버쇼핑에서 10조 5000억원 규모의 거래가 이뤄졌다.

네이버페이로 대표되는 핀테크 역시 22.5% 성장해 296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네이버페이는 이번 분기 결제액이 12조 4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7% 늘어났다.

클라우드 및 기타 부문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5%, 전 분기 대비 9.6% 감소해 94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미지 확대
네이버가 4일 인수를 발표한 북미 최대 개인 간 거래(C2C) 패션 플랫폼 ‘포시마크’의 화면이 각 모바일 기기에 표시돼 있다. 네이버 제공
네이버가 4일 인수를 발표한 북미 최대 개인 간 거래(C2C) 패션 플랫폼 ‘포시마크’의 화면이 각 모바일 기기에 표시돼 있다. 네이버 제공
대부분 사업부문의 고른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감소한 데 대해 네이버 측은 “제2 데이터센터 관련 인프라 비용과 개발·운영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다”면서 “마케팅과 창작자 보상 등 비용이 소폭 개선됐으며, 인건비 총 금액도 전분기 수준을 유지한 결과, 변동성을 제거한 조정 이익률은 지난분기 대비 1.4%p 개선된 22.5%를 달성했다”고 말했다.

네이버 최수연 대표는 “그동안 구축한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했다”며 “포쉬마크 인수, 신규 광고상품, 도착보장 솔루션, 오픈톡, 이슈톡 등 다양한 신규 성장동력을 찾아내고 새로운 시장을 끊임없이 개척해 성장세를 이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