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폭락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지역은 ··· 전남지역 농협

쌀값 폭락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지역은 ··· 전남지역 농협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입력 2022-10-07 10:52
업데이트 2022-10-07 1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8월말 전국 농협창고 재고 31.3만중 전남 8.7만t, 전북 6.6만t

이미지 확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승남(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 의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승남(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 의원
쌀값 폭락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지역은 전남지역 농협인 것으로 7일 조사됐다.

농협에 따르면 2021년말 기준 농협재고는 31만t으로 평년 대비 18만t(44.8%) 많은 수준이다. 정부가 3차에 걸쳐 37만t 시장격리를 했지만 판매부진으로 재고 과잉이 심각한 상황이다. 8월말 지역별 재고현황(정곡)을 보면 전남 8.7만t, 전북 6.6만t으로 전체 31.3만t의 49%를 차지하고 있다. 전남지역이 전국에서 재고가 가장 많다는 것은 피해액도 가장 높다는 것을 방증한다.

2022년산 쌀 수급은 구곡 재고과잉 문제와 함께 올해 수확기에도 풍작이 전망돼 쌀값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 2022년도 농협의 쌀사업 손실(구곡)은 2522억원 이상 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전남지역의 손실추정액이 561억원으로 제일 높고 충남 502억원, 경기 448억원, 전북 447억원 순이다.

이같은 상황이다 보니 지난해 적자 농축협은 단 3곳이었지만 올해 적자 예상 농축협은 18개로 추정된다. 18개 조합 중 13개 조합이 쌀값 하락에 따른 손실로 적자가 예상된다. 적자 조합은 전남 9개 농축협, 전북 4개 농축협으로 전남·북에 집중돼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승남(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 의원은 “정부가 45만t 쌀 시장격리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하면서 22년산 신곡의 초과생산량이 약 25만t 발생할 것으로 판단했지만 22년산 쌀 생산량은 379~385만t으로 보여 초과생산량은 33~39만t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초과생산량 예측을 잘못하게 되면, 피해는 고스란히 농민들 몫이기 때문에 정확한 수요량 예측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쌀값 폭락으로 피해가 큰 전남지역 농축협에 도농 상생기금과 무이자 지원 자금을 통한 지원책을 마련해 적자가 누적되지 않도록 중앙회 차원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흥 최종필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