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영·미·캐나다 순방...다시 ‘외교의 시간’으로

尹, 영·미·캐나다 순방...다시 ‘외교의 시간’으로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2-09-18 09:10
업데이트 2022-09-18 09: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런던서 ‘조문외교’ 후 뉴욕으로
한미·한일 정상회담 주목
미 이어 캐나다서도 경제외교 행보

유엔총회 참석 등이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미국·캐나다 3국 순방은 지난 6월말 스페인 마드리드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참석에 이은 취임 후 두번째 해외 순방이다. 이들 3국은 한국전쟁 3대 참전국으로, 한국의 전통적 우방이다.

첫 방문지인 영국 런던에서 윤 대통령은 19일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장례식에 직접 참석하는 등 ‘조문 외교’에 나선다. 윤 대통령은 장례식에 앞서 찰스 3세 국왕 주최 리셉션에 참석해 런던을 찾은 많은 자유 진영 정상들과 자연스럽게 조우하며 외교 지평을 넓힐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정상 중 상당수는 곧이어 열리는 미국 뉴욕 유엔총회에서 다시 만날 수도 있다.

유엔 기조연설과 더불어 한미·한일 정상회담까지 열리는 뉴욕 유엔 총회 일정은 이번 순방의 하이라이트다.

나토에서 한미일 정상회담과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회담 등에서 만났던 한일 정상은 뉴욕에서 처음으로 별도의 양자회담을 갖게 된다. 양국 정상이 이번 첫 회담에서 가시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일본 정부가 이번 정상회담 개최 사실에 대해 “구체적 일정이 결정되지 않았다”고 선을 긋는 등 여전히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두 정상은 첫 양자회담을 가진 것에만 의미를 두고 돌아설 가능성도 있다. 대통령실은 이번 회담이 30여분간 열릴 것으로 예상했는데, 통역 시간을 고려하면 양국 정상이 실제 대화하는 시간은 15분 정도에 그칠 수 있다. 그럼에도 한일관계 복원에 대한 윤 대통령의 의지가 확고한 만큼 이번 회담을 계기로 양국관계 복원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번 순방의 또다른 중요 키워드는 ‘경제’다. 지난 5월에 이어 두번째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한미통화스와프 논의가 일정 부분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상목 경제수석은 지난 16일 브리핑에서 통화스와프 논의 가능성에 대해 “지난 5월 회담에서 외환시장과 관련해 긴밀히 협의하기로 정상 간 말씀을 나눴고 재무장관 간 회담도 있었기 때문에, 관련된 공통 관심사이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어떤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이밖에 윤 대통령은 뉴욕에서 디지털 비전 포럼, 한미 스타트업 서밋, 북미지역 투자자 라운드 테이블 등 각종 경제 관련 공식 일정을 수행할 예정이다. 최 수석은 “미국 뉴욕은 세계 금융혁신의 중심으로, 한미 경제협력을 심화 발전시키기 위한 최적의 장소”라고 말했다.

캐나다 방문 일정에서는 핵심 광물과 인공지능(AI) 분야 등에 대한 협력 방안이 논의될 예정으로, 마찬가지로 경제외교 성격이 강하다. 오타와에서 열리는 한국·캐나다 정상회담에서는 이들 분야에 대한 MOU(업무협약)가 체결될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캐나다에서도 한국 기업에 대한 투자 유치에 나서며 나토에 이어 또다시 직접 ‘세일즈외교’를 펼친다.
안석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