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모든 대학 고른기회전형 적용… 학종, 서류·면접형 이원화

모든 대학 고른기회전형 적용… 학종, 서류·면접형 이원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09-06 18:02
업데이트 2022-09-07 02: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3학년도 대입 수시 13~17일 원서접수

모집 정원 78% 27만여명 선발
원서·서류 마감일 달라 주의 필요

이미지 확대
올해 대입 전체 모집인원은 34만 9124명이다. 이 가운데 78.0%인 27만 2442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한다. 지난해 대비 전체 모집인원이 2571명 줄었지만, 수시는 1만 64명 더 뽑는다. 수시 전형 가운데 학생부교과전형이 전년 대비 5958명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수도권 대학에서 전년 대비 697명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비수도권 대학에서는 5261명 늘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학생부종합전형 선발인원은 7만 9503명으로 전체의 22.9%였지만, 올해 수시에서는 1887명 증가한 8만 1390명으로 전체의 23.3%를 차지한다. 특히 서울 주요 15개 대학 학생부종합전형 선발인원은 1만 5293명으로 학생부교과전형 5614명과 논술전형 4327명을 합한 것보다 많다. 비수도권 대학들이 학생부교과전형을 늘린 반면, 수도권 대학들은 학생부종합전형을 늘린 셈이다.

올해 학생부종합전형은 서류형과 면접형으로 전형 방법을 이원화했다. 그동안은 1단계에서 서류로 일정 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면접을 진행하는 단계별 전형이 많았다. 그러나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면접이 줄어들다가, 올해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대면 면접이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대면 면접을 다시 치르는 대학은 그만큼 영향이 크다는 의미로, 이런 대학에 지원한다면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 서류로만 선발하는 대학은 자기소개서 없이 평가하는 대학도 많다. 따라서 학교생활기록부를 통해 자신의 강점을 충분히 드러내는 게 중요하다.

논술전형을 시행하는 대학은 36곳이다. 선발인원은 전년 대비 203명 감소한 1만 1028명이다. 선발인원 감소와 지역인재로 의·약학계열을 선발하는 점을 고려하면 선발인원은 체감상 더 줄었다고 보면 된다. 수험생 가운데 학생부교과나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다소 밀리는 수험생이 지원 대학을 높여 논술전형에 도전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논술전형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대학들이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올해 대입에서는 고른기회 특별전형이 늘었다. 교육부가 대학입학전형기본사항에 대학이 고른기회 특별전형을 반드시 시행하도록 하면서 2021학년도부터 정원 내 선발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학마다 응시 자격 기준을 다르게 두고 있어, 자신에게 맞는 전형을 잘 살피고 집중적으로 준비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수시 전체 원서접수 기간은 이번 달 13일부터 17일까지로 5일이다. 대학은 전체 원서접수 기간 중 3일 이상 원서를 받는다. 다만 대학마다 원서접수 기간이 다르고 마감 시간까지 다르니 유의하도록 하자. 자기소개서, 자격 확인 서류, 특기 입증자료, 활동증빙서류 목록표, 활동보고서 등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있다면 미리 챙겨 둬야 한다. 대부분 대학이 원서 마감일 이후 서류 제출을 마감하는데, 이를 믿고 뒤로 미루다 낭패를 볼 수도 있다. 반대로 수험생 중 간혹 서류 제출 마감일과 원서 마감일을 착각해 원서접수를 하지 못하는 사례도 종종 있다.

원서접수 마감 시간은 일반적으로 오후 6시지만, 오후 5시부터 12시까지 등 대학마다 다르다. 원서접수 마감일에 지원하는 사례가 많은데, 마감 시간이 임박하면 원서접수가 지연될 수도 있다. 결제 완료를 해야 완료가 되니, 가급적이면 마감 시간에 늦지 않도록 여유 있게 접수하도록 한다.

그래픽 길종만 선임기자
김기중 기자
2022-09-07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