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 3대 전통문화기관·시설 유치로 역사문화도시 위상 다진다.

강릉시 3대 전통문화기관·시설 유치로 역사문화도시 위상 다진다.

조한종 기자
입력 2022-08-25 10:56
업데이트 2022-08-25 1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원 강릉시가 국립국악원·강원역사문화진흥원·국립환동해박물관 등 3대 전통문화기관·시설 유치에 나선다. 강릉대도호부 모습. 강릉시 제공
강원 강릉시가 국립국악원·강원역사문화진흥원·국립환동해박물관 등 3대 전통문화기관·시설 유치에 나선다. 강릉대도호부 모습. 강릉시 제공
강릉시는 25일 강릉의 전통 역사문화 르네상스를 실현하고, 관광경제 등의 파급효과를 확대하기 위해 전통문화기관과 시설을 적극 유치한다고 밝혔다. 국립국악원과 강원역사문화진흥원은 김홍규 시장의 공약사업이고, 환동해박물관은 김진태 도지사 공약사업이다.

이와 관련 최근 권혁열 도의장을 비롯해 강릉지역 도의원과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정책현안간담회를 열고 협력·공조로 힘을 더하기로 했다.

국립국악원은 현재 서울 본원 외에 남원(1992년), 진도(2004년), 부산(2008년) 등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같은 중앙집중과 지역편중에서 벗어나기 위해 국악원 역할과 기능을 소외지역인 동해안권으로 확장해 전통문화예술의 균형발전과 예술문화 자치분권을 앞당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강원역사문화진흥원은 한국국학진흥원(안동), 한국학호남진흥원(광주), 한국유교문화진흥원(논산) 등이 각 권역을 대표하는 국학진흥기관으로 활발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현실에서 ‘환동해학’을 발굴·육성하고, 강원권 역사문화 연구·집대성의 구심체 역할을 할 도립기관 설립이 절실하다. 이같은 여론을 담아 설립·유치 추진위원회가 구성되고, 김홍규 강릉시장이 공약으로 설립을 약속했다.

국립환동해박물관은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예맥역사문화권’이 추가되면서 환동해권 지역에 별도의 국립박물관 건립의 근거가 마련됐다. 문화재급 유물·사료가 많은 동해안 지역의 특수성이 더해져 설립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더구나 최근 다른 광역 시·도에 국립박물관 시설이 속속 건립되면서 ‘1광역 시·도 1국립박물관’ 원칙에 큰 변화가 생기고 있는 점도 환동해박물관 설립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김홍규 강릉시장은 “강릉의 전통 역사문화 르네상스를 실현하고, 관광경제 등의 파급효과를 확대하기 위헤 3대 현안 추진에 지역의 역량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강릉 조한종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