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성 표현 덜고, 구체적 통계 더했더니…‘혐오의 거리감’ 좁혀졌다[정중하고, 세련된 혐오사회]

낚시성 표현 덜고, 구체적 통계 더했더니…‘혐오의 거리감’ 좁혀졌다[정중하고, 세련된 혐오사회]

유대근, 최훈진, 이주원, 이근아 기자
입력 2022-08-24 20:14
업데이트 2022-08-25 1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끝> 혐오 녹이는 방법

이미지 확대
언론이 혐오와 클릭 수를 맞바꾸는 ‘클릭 저널리즘’에서 벗어나면 우리 사회의 혐오 차별은 줄어들까. ‘정중하고, 세련된 혐오의 사회’를 연재해 온 서울신문 스콘랩은 막연했던 이 문제를 두고 실험을 해 봤다. 그 결과 같은 소재의 기사라도 자극적 표현은 덜어내고, 구체적 통계 등은 꼼꼼히 담을수록 독자들이 사회 소수자에게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이 좁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이 보도 철학을 바꿔 꾸준히 노력하면 혐오를 녹일 수 있다는 얘기다.

혐오 다를까… 세대별 200명 실험

‘中 교포 국내 살인사건’ 부정 심리 
선정적인 범죄 묘사 기사는 3.3점
범죄율 낮은 반론 넣은 기사 2.8점 

서울신문 스콘랩은 지난달 21일부터 25일까지 미디어 심리학 전문가 나은영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와 함께 실험 연구를 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실험은 한국리서치가 진행했고, 20대부터 60대까지 세대별로 40명씩 모두 200명이 참여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A·B·C·D 등 4개 그룹으로 나눠 이주민, 성소수자 등을 소재로 쓴 서로 다른 톤의 기사를 읽게 했다. 그리고는 소외계층에 대해 어떤 감정이 드는지 물었다. 같은 소재를 다룬 기사라도 그 톤에 따라 독자의 혐오 감정에 각기 다른 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다. 참여자들이 읽은 기사들은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쓴 가상의 기사였다.

●객관적 기사, 이주민 친근감 점수 높아

예컨대 이주민과 관련해서는 중국 교포가 국내에서 저지른 살인 사건 기사를 보여 줬다. 다만 참가자 그룹별로 제공받은 기사 내용이 조금씩 달랐다. 일부 참가자들은 <표①>과 같은 내용의 기사를 읽었다. 이 기사에는 범죄가 선정적이고 자세하게 묘사됐다. 하지만 국내 체류 중국인의 범죄율 등 현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수치는 없었다. 예컨대 제목에 ‘배만 보고 찔렀다’는 자극적 표현을 썼고, 본문에도 ‘26㎝ 길이의 회칼로 B씨의 복부를 수차례 찔렀다’, ‘조선족들의 범죄가 크게 증가해 국민적 공포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고 썼다.

편견 바뀔까… 언론 보도의 중요성

성소수자 기사톤 달라도 점수 비슷
“코로나 등 질병에 낙인 보도 많아
정치인 혐오발언 이중 증폭 역할” 

반면 다른 기사는 <표②>처럼 차분한 톤이었다. 범죄 상황을 세밀히 묘사하지 않았고, 대신 국내 체류 중국인의 범죄율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반론을 실었다. 예컨대 범죄 상황을 설명하며 ‘칼로 찔렀다’는 직접적 설명 대신 ‘공격했다’고 에둘러 표현했다. 또 ‘(국내 체류 외국인) 인구 10만명당 범죄자 검거인원 지수를 보면 중국은 전체 조사대상 16개국 가운데 7번째로 중간 정도였다’는 객관적 수치를 추가했다. 독자들이 하나의 사건만 보고 과잉해석하지 않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 것이다.

실험 참여자들은 어떤 기사를 읽었느냐에 따라 이주민에게 느끼는 부정적 감정 정도가 크게 달라졌다. 극단적 표현만 난무하고, 객관적 범죄 통계는 담지 않은 <표①>의 기사를 읽은 참여자가 느낀 이주민에 대한 부정 정서는 3.3점(5점 척도)이었다. 반면 극단적 표현은 쓰지 않고 통계 등 객관적 정보는 충분히 담은 <표②> 기사를 읽은 독자는 부정 정서가 2.8점에 불과했다.

또 기사 톤은 참여자들이 이주민에게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에도 영향을 줬다. 사회적 거리감은 이주민을 이웃이나 친구, 연인 등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여부를 묻는 식으로 측정했다. 연구 결과 극단적 표현이 많은 반면 범죄 통계는 언급하지 않은 기사를 읽은 참여자들은 이주민에게 2.5점의 사회적 거리감을 드러냈다. 반면 극단적 표현은 쓰지 않고, 통계 등 객관적 수치를 담은 기사를 읽은 참여자는 3.1점의 거리감을 느꼈다. 숫자가 클수록 이주민을 가까운 존재로 느낀다는 뜻이다.

특히 극단적 표현을 썼는지 여부는 이주민에 대해 평소 좀 더 알고 싶어했던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줬다. 똑같이 객관적인 정보가 담긴 기사라도 극단적인 표현을 쓸 경우 평균적으로 느낀 부정적 감정 정도는 2.8점에 달했다. 극단적이지 않은 표현의 기사를 읽었을 때 부정적 감정 정도는 2.6점이었다. 반면, 이주민에 대해 평소 별로 알고 싶지 않아했던 독자들은 객관적 정보가 제시됐는지 여부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똑같이 극단적인 표현으로 적힌 기사라도 정보가 있을 경우 부정적 감정 정서는 3점이었던 반면, 정보조차 제시되지 않았을 때 부정적 감정 정서의 정도는 3.6점으로 크게 증가했다.

연구를 진행한 나 교수는 “정보가 풍부한 기사 몇 편을 읽었다고 소수자에 대한 편견이 드라마틱하게 줄지는 않는다”면서도 “선정적인 기사가 독자의 확증편향(자신의 가치관·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만 받아들이려는 사고방식)을 더 강화시킬 수는 있다”고 말했다.

반면 성소수자를 다룬 기사는 어떤 톤으로 쓰든 간에 참여자들의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대중의 차별적 인식이 그만큼 두터웠다는 얘기다. 다만 이번 실험은 단편의 기사를 읽게 한 뒤 심리적 영향을 확인해 본 것이어서 한계가 있다. 성소수자 문제도 언론이 혐오를 조장하지 않고 꾸준히 보도한다면 사회적 편견을 줄여 낼 수 있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의 남웅 활동가는 “언론이 코로나19 등 질병 문제를 다룰 때 성소수자 등 특정 개인·집단을 낙인찍는 방식으로 보도한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이런 기사를 접한 대중은 해당 집단을 비난하게 되고, 소외계층이 더 소외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혐오 확성기 ‘따옴표 보도’ 줄여야

정치인 등 저명인사가 혐오성 발언을 했을 때 이를 다루는 언론의 태도 역시 중요하다. 문제의 발언에 따옴표를 씌워 비판적 해석 없이 인용 보도하면 혐오의 확성기 역할만 하게 된다. 한상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네티즌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올린 글을 언론이 슬쩍 받아쓰고, 정치인이 이를 언급해 증폭시키면 언론은 정치인 발언을 다시 받아쓰는 방식으로 혐오를 확산시키고 있다”면서 “언론이 혐오의 이중 증폭 장치 역할을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나 교수는 “이주민 기사 실험을 통해 언론이 정확한 정보를 순화된 언어로 전달하면 독자들이 가진 편견을 줄여 줄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면서 “다른 사회 소수자에 대한 차별 역시 언론이 꾸준히 노력한다면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콘랩(스토리콘텐츠랩)은 팩트를 기반으로 한 이야기 형식의 기사를 지향합니다
스콘랩(스토리콘텐츠랩)은 팩트를 기반으로 한 이야기 형식의 기사를 지향합니다
스콘랩 유대근 기자
최훈진 기자
이주원 기자
이근아 기자
2022-08-25 8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