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물가 꺾였는데… 밥상 물가는 43년 만에 최고

美 물가 꺾였는데… 밥상 물가는 43년 만에 최고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2-08-11 20:14
업데이트 2022-08-12 0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월 식료품지수 13.1% 치솟아
“전쟁·가뭄 등 영향 장기화 우려”

이미지 확대
미국 7월 물가상승률이 전월보다 둔화됐지만 장바구니 물가는 4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서민들의 지갑 사정은 여전히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다.

CNN은 10일(현지시간) “지난달 가정에서 소비하는 식료품 소비자물가지수(CPI) 증가율이 전년 동월 대비 13.1% 올라 1979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식료품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5월 이후 지난달까지 14개월 연속 상승세다.

품목별로 계란 가격이 38% 올랐고, 밀가루는 22.7%, 우유 15.6%, 과일·채소는 9.3% 상승했다. 고기류 중에는 닭고기 가격이 17.6% 급등했고 다진 소고기는 9.7%, 베이컨은 9.2% 올랐다.

세계 최대 육가공업체인 타이슨스는 지난 8일 실적 발표 자리에서 “인플레이션으로 가정에서 상대적으로 비싼 소고기 구매를 줄였고 이를 저렴한 닭고기로 대체하면서 닭 가격이 크게 뛰었다”고 설명했다. 월마트는 최근 고물가에 자체 브랜드(PB) 제품 수요가 늘었다고 밝혔다.

특히 장바구니 물가 급등세는 지난달 8.5%를 기록하며 6월(9.1%)보다 내린 전체 CPI나, 지난달 7.6%로 6월(7.7%)보다 하락하며 지난해 2월 이후 17개월째 이어진 상승세를 마감한 외식물가와 상반된다.

식료품 물가 상승 원인으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곡물 공급망 혼란, 미 서부·브라질·유럽 등지의 심각한 가뭄으로 인한 곡물·커피 등의 수확량 감소, 미국 내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한 계란 공급 감소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휘발유 가격은 정부가 전략비축유 방출이나 유류세 조정으로 즉각적인 가격 대응에 나설 수 있지만 식료품은 가격 개입이 복잡하고 힘들다.

여기에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국은 고환율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까지 겹친 상황이다. 블룸버그통신은 “7월 세계식량가격지수(140.9)가 전월 대비 8.6% 하락하면서 변곡점을 지났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이는 지난해 7월과 비교하면 여전히 13.1%나 오른 수치”라며 식료품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장기화를 우려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2022-08-12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