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 10만 돌파, 집회·공연 거리두기 필요해

[사설] 코로나 10만 돌파, 집회·공연 거리두기 필요해

입력 2022-07-27 20:16
업데이트 2022-07-28 02: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10만285명 발생한 27일 서울 송파구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코로나19 현황모니터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10만285명 발생한 27일 서울 송파구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코로나19 현황모니터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재확산세가 무섭다. 이달 들어 매주 확진자가 배로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을 반복하더니 어제 급기야 10만명을 돌파했다. 하루 확진자가 10만명을 넘은 것은 지난 4월 20일 이후 98일 만이다. 별다른 방역 조치를 내놓지 않던 정부는 사안의 심각성을 깨달았는지 몇 가지 긴급 대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확산세를 막기엔 역부족인 듯싶다. 더 적극적이고 진전된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

정부가 새로 내놓은 대책은 가족돌봄 휴가자 지원, 유증상 근로자 휴가 적극 권고, 요양병원 입소자 면회와 외출·외박 제한 등이다. 공직사회에 대해선 출장을 자제하고 비대면 회의를 우선적으로 활용토록 했다. 또한 감염 위험이 큰 영화관이나 공연장, 체육시설 등 대형 집합시설에 대해선 방역수칙 준수에 대한 현장 점검과 함께 방역인력 지원책도 내놓았다. 고위험군에 대해 하루 안에 진료와 처방이 가능한 패스트트랙 가동, 위중증 환자 증가에 대비한 병상 증설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국민 참여에 기반한 일상방역의 생활화로 극복하겠다”고 강조했듯 대부분의 대책은 자율 방역이 근간을 이룬다. 국민 개인의 판단에 맡긴다는 의미인데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특히 젊은층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거센 공연장이나 경기장, 영화관 등 집합시설에 대한 대책이 미약하다. 가수 싸이의 ‘흠뻑쇼’ 관람 후 확진됐다는 얘기가 줄을 잇는 데서 보듯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의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 전면적인 거리두기는 경제적·사회적 피해가 너무 커 시행하기 어렵더라도 관람객 수 제한, 한 자리 띄어서 앉기, 물 뿌리기 금지 등 제한적 거리두기와 방역수칙 강화는 불가피하다. 확산세 주범인 BA.5 변이 바이러스용 개량 백신의 조기 도입 협의도 서두르기 바란다.

2022-07-28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