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에 집값 ‘흔들’…하반기 전국 0.7% 하락

금리인상에 집값 ‘흔들’…하반기 전국 0.7% 하락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2-06-27 20:26
업데이트 2022-06-28 06: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셋값은 2.5% 올라갈 듯
갱신청구 만료 8월에 촉각

이미지 확대
지난 3월 서울의 한 아파트단지 상가 공인중개사에 아파트 매매 및 전세 매물 시세가 게시돼 있다. 2022.3.29 뉴스1
지난 3월 서울의 한 아파트단지 상가 공인중개사에 아파트 매매 및 전세 매물 시세가 게시돼 있다. 2022.3.29 뉴스1
금리 인상 등으로 올해 하반기 전국 집값이 0.7% 하락하고 전셋값은 2.5%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27일 진행한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올해 상반기 규제완화 기대감에 0.2% 오른 가운데 하반기에는 0.7%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간으로는 0.5% 하락이다.

집값이 치솟은 가운데 금리 인상에 따른 자금조달 여건 악화로 매수인의 부담이 커지면서 현재의 가격 수준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연구원의 전망이다. 다만 서울은 공급 감소가 가격을 자극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부연구위원은 “하반기에 경제 상황이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가격의 변곡점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면서 “소외 지역부터 집값 하락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세가격은 하반기 상승폭이 두드러진다. 상반기엔 전국 전세가격이 0.1% 오르는 데 그쳤지만 하반기에는 2.5% 상승할 것으로 관측됐다. 상반기에 전셋값이 크게 오르지 않은 것은 이미 높아진 가격에 부담을 느낀 임차인들이 월세나 반전세로 전환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하반기에도 월세나 반전세를 택하는 세입자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서울 등 주요 지역의 공급 감소가 전셋값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연구원은 내다봤다.

김 부연구위원은 “2년 또는 4년 만에 시장에 나선 전세 수요자가 느끼는 부담은 전망치보다 훨씬 클 것”이라면서 “계약갱신청구권이 만료되는 8월 이후 임대차 시장에서 들려오는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신진호 기자
2022-06-28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