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가 대학 갈 때, 다문화 자녀 40%만 갔다

71%가 대학 갈 때, 다문화 자녀 40%만 갔다

이슬기 기자
입력 2022-06-27 22:14
업데이트 2022-06-28 0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1년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대학진학률 3년간 약 10% 하락
전 국민보다 30%P 넘게 저조해
학업·일 다 안 하는 비율은 늘고
자긍심·자아존중감 모두 하락세
사회·교육 등 인프라 확충 시급

이미지 확대
다문화가족 자녀의 대학 진학률이 전체 국민 대비 30% 포인트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 15~24세 다문화가족 자녀 중 비재학·비취업 비율도 3년 전에 비해 증가했다.

여성가족부가 27일 발표한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를 보면 다문화가족 자녀의 대학 진학률은 40.5%로 3년 전 조사(49.6%)에 비해 9% 포인트 하락했다. 전체 국민(71.5%)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은 수치다. 만 13세 이상 자녀의 희망 교육 수준이 전문대·4년제 대학을 통틀어 90.4%에 달하지만, 실제로는 희망자의 절반 이하만 대학에 진학한다는 뜻이다. 만 15~24세 자녀 중 비재학·비취업 비율(14.0%)도 2018년(10.3%)에 비해 3.7% 포인트 증가했다.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느끼는 자긍심과 자아존중감은 모두 떨어졌다. 자긍심은 3.38점(5점 척도)으로 2018년(3.48점)보다 0.1점 감소했다. 자아존중감도 2018년 3.87점에서 지난해 3.63점으로 낮아졌다.

이는 결혼이민자·기타 귀화자의 국내 거주 기간이 길어지며 학령기 자녀 비중이 늘어난 한편 그들을 수용할 사회·교육 환경의 변화는 더딘 탓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 15년 이상 국내 거주자의 비율은 39.9%로 12.3% 포인트 증가했다. 만 9~24세 청소년기 자녀 비중도 43.9%로 2018년(43.9%) 대비 8.3% 포인트 늘어났다. 김숙자 여가부 가족정책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나라 교육 여건상 부모의 관심과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결혼이민자들은 상대적으로 언어 소통이 어렵고, 한국 학제 경험과 정보가 부족해 자녀 교육에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만 6~24세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응답은 88.1%로 지난 조사보다 0.9% 포인트 증가했으며, 학업 지도(50.4%)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다문화가구는 전체 34만 6017가구로, 결혼이민자 가구가 82.4%(28만 5005가구), 혼인 외의 방법으로 한국 국적을 취득한 기타 귀화자 가구가 17.6%(6만 1012가구)다. 이들의 56.1%는 수도권에 거주하며, 동 지역 거주자(76.8%)가 읍면 지역 거주자(23.2%)에 비해 3배 이상 많다.

가족 구성은 부부·자녀 가구가 35.5%이며 ▲부부 가구 30.0% ▲한부모 가구 10.9% ▲1인 가구 8.3% 순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51.5%가 소득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이슬기 기자
2022-06-28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