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금리 또 오른다… 5월 코픽스 0.14%P 상승

주담대 금리 또 오른다… 5월 코픽스 0.14%P 상승

홍인기 기자
홍인기, 황인주 기자
입력 2022-06-15 20:34
업데이트 2022-06-16 0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변동금리 오늘부터 변동분 반영
고정금리도 연내 8%까지 오를 듯
“한은, 7월 기준금리 빅스텝 전망”

이미지 확대
미국이 기준금리를 한번에 0.75% 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대출금리의 가파른 인상이 본격화하고 있다. 대출금리 기준이 되는 지표금리들이 대폭 상승하면서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는 지난 4월(1.84%)보다 0.14% 포인트 높은 1.98%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는 지난 2월부터 넉 달간 줄곧 오름세를 이어 오고 있다. 시장 금리를 서서히 반영하는 잔액 기준 코픽스도 1.68%로 4월(1.58%)보다 0.10% 포인트 상승했다.

코픽스는 시장에서 조달하는 정기 예·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금융채 등 수신상품 자금의 평균 비용으로 산출한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상품은 코픽스와 연동해 금리가 결정되는 만큼 코픽스가 오르면 대출자의 이자 부담도 그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날 기준 연 3.49~5.51% 수준이었던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16일부터 코픽스 변동분만큼 높아진다.

이날 기준 연 4.33~6.97% 수준인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도 연내 연 8%까지 오를 것으로 보인다. 고정금리 지표가 되는 은행채 금리도 치솟고 있어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은행채 5년물(AAA) 금리는 전날 기준 연 3.977%를 기록했다. 2012년 4월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아울러 신용대출의 지표금리가 되는 은행채 1년물 금리도 연 3.023%로, 2012년 7월 이후 처음으로 연 3%를 넘어섰다. 신용대출 금리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걷잡을 수 없이 오르는 물가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를 필두로 한 세계적인 긴축 움직임의 영향으로 기준금리는 오를 일만 남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7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한번에 0.5% 포인트 올리는 ‘빅 스텝’에 나서고, 이후에도 기준금리를 올려 연말이면 연 3%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인기 기자
황인주 기자
2022-06-16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