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곡진 역사, 얼룩진 땅… 미군 숙소·벙커 너머 대통령실 앞뜰도 공개

굴곡진 역사, 얼룩진 땅… 미군 숙소·벙커 너머 대통령실 앞뜰도 공개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2-06-09 20:36
업데이트 2022-06-10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용산공원 120년 만에 시범 개방

일제·미군 주둔 아픈 역사 품어
50년대 美소도시 옮긴 듯한 풍경
헬기·특수차량 등 경호장비 관람

일부 지역 발암물질 논란은 계속
당국 “오염된 곳 동선 제외” 해명
이미지 확대
미군이 반환한 대통령실 남쪽의 용산공원 부지가 10일부터 19일까지 하루 2500명을 대상으로 열흘간 시범 개방된다. 시범 개방 부지는 신용산역에서 시작해 장군 숙소와 대통령실 남측 구역인 스포츠필드(국립중앙박물관 북측)를 지나는 직선거리 약 1.1㎞의 대규모 공간이다. 사진은 지난 7일 취재진에게 공개된 용산공원 내 태극기 모양 바람개비로 단장한 잔디밭 뒤로 보이는 대통령실 청사의 모습. 오장환 기자
미군이 반환한 대통령실 남쪽의 용산공원 부지가 10일부터 19일까지 하루 2500명을 대상으로 열흘간 시범 개방된다. 시범 개방 부지는 신용산역에서 시작해 장군 숙소와 대통령실 남측 구역인 스포츠필드(국립중앙박물관 북측)를 지나는 직선거리 약 1.1㎞의 대규모 공간이다. 사진은 지난 7일 취재진에게 공개된 용산공원 내 태극기 모양 바람개비로 단장한 잔디밭 뒤로 보이는 대통령실 청사의 모습.
오장환 기자
중국 청군의 주둔지, 일본군의 병영, 미군의 기지. 서울 한복판에 있음에도 120년 넘게 한국인의 발길이 허락되지 않았던 땅, 서울 용산공원이 10~19일 시범 개방을 통해 공개된다.

지난 7일 국토교통부 출입기자단에 미리 선보인 용산공원은 1950년대 미국 소도시를 옮겨 놓은 듯한 풍경 속에 일본과 우리 선조의 흔적이 희미하게 남아 있었다.

시범 개방 부지의 출발점은 옛 미군 기지의 14번 게이트로, 대통령실과 가장 가까운 출입문이라고 한다. 14번 게이트에 들어서면 사우스포스트벙커가 눈에 들어온다. 1940년대 일본군, 해방 후 미군에 이어 한국군, 6·25전쟁 당시 북한군이 잠시 사용하다 정전 후 미군이 다시 접수한 이 벙커는 용산공원 방문객을 위한 안내센터로 거듭날 예정이다.

벙커를 옆에 끼고 동쪽으로 난 길을 따라 걸으면 좌우로 옛 7군단의 장군 숙소가 놓여 있다. 낮은 단층에 붉은색 지붕, 그 위에 여러 개의 굴뚝이 솟아 있는 숙소는 1950년대 미국에서 유행하던 양식이라고 한다. 플라타너스 가로수길에 놓인 영어 표지판, 미국 소방관 모자를 본뜬 소화전, 나무로 된 전신주도 미국 소도시의 분위기를 더한다. 하지만 곳곳에 미군이 정원을 장식하고자 갖다 둔 조선의 석상, 끊긴 채 남아 있는 일본식 석축을 발견하면 다시 다사다난했던 용산공원의 역사를 상기하게 된다.
이미지 확대
미군이 반환한 대통령실 남쪽의 용산공원 부지가 10일부터 19일까지 하루 2500명을 대상으로 열흘간 시범 개방된다. 시범 개방 부지는 신용산역에서 시작해 장군 숙소와 대통령실 남측 구역인 스포츠필드(국립중앙박물관 북측)를 지나는 직선거리 약 1.1㎞의 대규모 공간이다. 사진은 지난 7일 취재진에게 공개된 미군 건물의 모습. 오장환 기자
미군이 반환한 대통령실 남쪽의 용산공원 부지가 10일부터 19일까지 하루 2500명을 대상으로 열흘간 시범 개방된다. 시범 개방 부지는 신용산역에서 시작해 장군 숙소와 대통령실 남측 구역인 스포츠필드(국립중앙박물관 북측)를 지나는 직선거리 약 1.1㎞의 대규모 공간이다. 사진은 지난 7일 취재진에게 공개된 미군 건물의 모습.
오장환 기자
장군 숙소 부지를 빠져나와 용산공원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10군단로로 접어들면 탁 트인 바람정원과 전망대가 등장한다. 대통령실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용산공원의 하이라이트다. 시야를 가리는 장애물이 없어 방문객이 대통령실을 한눈에 담을 수 있다. 방문객은 바람정원에서 15분마다 40명까지 선착순으로 대통령실 앞뜰에 입장해 헬기·특수차량 등 대통령 경호 장비를 관람할 수 있다.

다만 부지 내 오염물질에 대한 우려는 계속 나오고 있다. 지난해 환경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시범 개방 부지 일부에서 독성물질인 석유계총탄화수소, 발암물질인 벤젠, 페놀류 등이 기준치 이상 발견됐다.

이에 대해 김복환 국토부 용산공원추진기획단장은 “토양이 직접적으로 인체에 닿는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해 토사 피복 조치를 했고, 그럼에도 오염이 된 곳은 (관람) 동선에서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환경공단이 조사한 오염 수치는 평균치가 아닌 최고치”라며 “오염된 토양이 밖으로 나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끔 토사 위에 잔디를 깔거나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치는 등 저감조치를 하는데도 위해하다는 일부 주장은 많이 과장됐다”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2022-06-10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