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꺾은 김대중 전남교육감 당선인, 전남형 교육 자치 다짐

현직 꺾은 김대중 전남교육감 당선인, 전남형 교육 자치 다짐

류지홍 기자
류지홍 기자
입력 2022-06-02 15:55
업데이트 2022-06-02 15: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직 교사·목포시의회 의장·교육청 비서실장에서 전남교육 수장으로
“전남교육 기본소득으로 교육 불균형 해소와 지역소멸 막을 것“

이미지 확대
김대중 전남교육감 당선자가 당선이 확정된 후 지지자들을 향해 손가락 하트 인사를 하고 있다.
김대중 전남교육감 당선자가 당선이 확정된 후 지지자들을 향해 손가락 하트 인사를 하고 있다.
“전남형 교육자치와 미래 교육을 통해 전남교육의 대전환을 이루겠습니다.”

“지역사회와 함께 일자리를 만들고 인공지능과 디지털에 기반한 맞춤형 교육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갖춘 전남의 아이들이 전남에서 배우고 전남에서 일하게 하겠다는 것입니다.”

6·1지방선거 전남교육감 선거에서 승리한 김대중 당선인(60)의 일성이다.

2일 오전 선관위 개표 마감 결과 김 당선인은 45.08%의 득표로 37.05%에 그친 장석웅 현 교육감(67)을 누르는 이변을 연출했다.

선거 초반 깜깜이 선거가 우려되며 현 교육감의 재선이 예상됐으나 선거가 무르익을수록 김 당선인이 선거 초반 열세를 뒤집고 오히려 앞서기 시작하면서 당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김 당선인의 지지도 상승에는 전남지역 최대 현안이 지방소멸의 대안으로 떠오른 교육 자치와 학생 1인당 매달 20만원을 주는 학생 기본소득 공약이 주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함께 전남지역 유권자들에게 친숙한 김대중 전 대통령과 같은 이름이 짧은 기간 인지도 상승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김 당선인은 선거기간 김 전 대통령과 비슷한 이미지를 풍기며 사람들에게 ‘DJ 향수’를 자극했다.

참교육 운동 실천 의지와 지방 정치, 현장 행정 등의 독특한 이력도 신뢰도 제고에 큰 도움이 됐다.

김 당선인은 목포정명여고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했으나 전교조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5년만에 해직됐고 김영삼 정권 때 전교조 탈퇴를 조건으로 복직이 허용됐으나 참교육 운동을 위해 거절했다.

지방 정치에 뛰어들어 목포시의회 3선 의원과 최연소 시의회 의장을 지내기도 했다.

이후 주민 직선 1·2기 전남교육감 시절부터는 다시 교육 현장으로 돌아와 전남교육청 비서실장으로 7년간 재직했다.

2019년 30년만에 목포제일중 교사로 복직해 교사 생활을 하다 지난해 전남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겠다며 교육감 출마를 결심했다.

김 당선인은 소감에서 “선거운동 기간 골목골목을 돌며 전남교육의 현주소를 확인했고 도민 여러분의 성원에 용기를 낼 수 있었다”며 “전남형 교육 자치와 미래 교육, 전남교육 기본소득으로 교육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소멸을 막겠다”고 다짐했다.
무안 류지홍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