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옥수수 농사 망칠라... 열대거세미나방 비상

초당옥수수 농사 망칠라... 열대거세미나방 비상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2-05-19 10:54
업데이트 2022-05-19 19: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제주도 농업기술원 제공
제주도 농업기술원 제공


제주에서 올해 국내 첫 열대거세미나방이 발견돼 초당옥수수 재배 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허종민)은 올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비래해충 ‘열대거세미나방’ 유입이 성산읍 등지에서 확인됨에 따라 철저한 방제를 당부한다고 19일 밝혔다.

바람을 타고 도달하는 해충을 뜻하는 비래해충인 열대거세미나방, 멸강나방 등은 봄철 편서풍을 타고 국내로 유입되며 옥수수, 기장 등 벼과 작물을 가리지 않고 갉아먹어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힌다.

원래 열대거세미나방은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아열대 지역이 원산지로 2016년 아프리카, 2018년 동남아시아에 이어 2019년 중국으로 급속하게 확산하고 있는 장거리 이동성 해충이다. 옥수수, 수수, 조 등 300여종 이상의 식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올해는 지난 17일 성산읍 삼달리와 한림읍 수원리 일대에서 ‘열대거세미나방’성충을 발견했다.

이번에 발견된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은 성페로몬 트랩으로 유인된 수컷이며, 발육 단계로 미뤄 지난 5월 14일 이후 중국에서 국내로 날아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평년보다 첫 발견이 늦었으나 우리나라에 직접 영향을 주는 중국 운남성 등의 병해충 발생현황을 보면 올해 국내로 날아올 비래해충은 늘어날 전망이다.

날아온 열대거세미나방 성충이 산란하고 알에서 부화한 유충(애벌레)이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시기는 5월 하순으로 예측된다.

열대거세미나방은 성충기와 다 자란 유충기에는 방제효과가 낮을 수 있어 알에서 갓 부화한 어린 애벌레 때 방제가 효과적이다. 발생 초기에 방제하면 피해주율이 1% 정도이지만 방제시기를 놓친 뒤 방제작업을 할 경우 10~50%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초당옥수수는 6월 상순 수확기를 앞두고 있어 적기 예찰 및 방제가 되지 못할 경우 큰 손실이 발생하므로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이용우 농업연구사는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반경 1km 이내 정밀 예찰을 실시하고, 옥수수 재배지를 중심으로 조사를 확대할 예정”이라며 “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비래해충 확산 방지를 위한 교육·홍보자료 배포와 휴대전화 문자발송 등을 통해 예방과 방제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열대거세미나방 방제를 위한 약제는 27개 작물·284개 품목이 등록돼 있으며, 농약정보시스템에서 농약등록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