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삼도수군통제영’ 국가 문화재 지정 촉구

여수‘ 삼도수군통제영’ 국가 문화재 지정 촉구

서미애 기자
서미애 기자
입력 2022-04-29 16:06
업데이트 2022-04-29 16: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제영 동헌 일대 유적, 국가문화재 지정 필요
여수는 이순신 장군 호국·충효 정신의 본고장

이미지 확대
임진왜란 당시 전남 여수에 최초로 설치됐던 해상방어 총사령부인 삼도수군통제영을 국가 문화재로 지정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29일 전라좌수영 겸 최초 3도수군통제영 국가 문화재 지정 추진위원회는 28일 진남문예회관에서 세미나를 열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 탄신 477주년기념 학술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세미나는 노기욱 교수(호남의병연구소장)의 ‘국가지정문화재 여수 전라좌수영 겸 삼도수군통제영 사적 지정을 위한 제언’ 주제발표와 정현창 박사(전남대 문화유산연구소 연구원)의 ‘여수는 최초 3도수군통제영이었다’ 주제발표로 시작됐다.

이어 박정명 여수진남거북선축제보존회 이사장, 조미선 한국국학진흥원 사료조사원의 토론이 펼쳐졌다.

세미나 참가자들은 임진왜란 당시 전라좌수사 이순신 장군이 경상·전라·충청 등 3도 수군을 지휘했던 여수 진남관 등을 국가 문화재로 지정해야 한다는데 한목소리를 냈다.

주제발표는 최초 1대 이순신, 2대는 원균, 3대 다시 이순신, 이순신 전사 후 4대는 이시언 등 모두 여수가 본영인 ‘전라좌도수군절도사 겸 삼도수군통제사’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1593년부터 1601년 통제영이 경남으로 이전하기까지 8년여 동안 여수가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세미나와 동시에 정치권에 최초 3도수군통제영 동헌 등 부속건물 복원과 통제영의 국가 문화재 사적 지정을 위한 건의에 나섰다.

고효주 추진위원장은 “우리 지역의 국방 유적지인 삼도수군통제영 국가 문화재 사적(史蹟) 지정 추진은 지금부터 시작”이라며 “모든 시민이 참여하는 범시민운동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여수 최종필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