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사라진 꿀벌의 노래/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의 詩와 視線] 사라진 꿀벌의 노래/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입력 2022-04-27 20:12
업데이트 2022-04-28 02: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대초원을 만들려면
클로버 하나와 꿀벌 한 마리가 필요해.
클로버 하나와 꿀벌 한 마리.
그리고 몽상.
몽상만으로도 충분할 거야,
꿀벌이 몇 없다면.

-에밀리 디킨슨

내가 외울 수 있는 몇 안 되는 시 중 하나다. 여든이 넘은 엄마는 옛날에 배운 시와 노래들을 생생히 외우시는데, 더 젊은 나는 그런 시가 많지 않아 부끄럽다. 그러니 이 시는 내 소중한 애송시다. 디킨슨은 19세기의 여성. 좋은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를 비롯해 집안 모든 남자들이 정치가로, 법률가로 활동했지만 ‘딸’ 디킨슨은 매우 적조한 삶을 살았다.

학교도 그만두고 결혼도 않고 병약한 몸으로 디킨슨은 집에서 많은 책을 읽고 꽃을 가꾸고 또 시를 썼다. 쉰다섯에 세상을 뜰 때까지 출판된 시는 7편 남짓. 그러나 서랍 속에 남긴 시가 자그마치 1800여편이다. 세상을 떠나고 69년이 지나고서야 시 전집이 출간된 디킨슨은 미국 문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시인 중 한 명으로 사랑받고 있다.

시인은 대초원을 만들려면 클로버 하나와 꿀벌 한 마리면 된다고 한다. 반복해서 강조하는 조건이 참 소박하다. 그 당찬 자신감이 좋다. ‘대초원’은 ‘prairie’, 즉 북미대륙의 너른 평원을 말한다. 그냥 풀밭이나 초원으로 옮기면 살짝 아쉽게 느껴지는 이유.

이번에 고심한 부분은 원시에 ‘revery’라고 돼 있는 단어 ‘몽상’이다. 예전에 번역할 때는 소리 내어 읽을 때 꿀벌과 꿈의 어감을 맞춤으로 살려 꿈으로 했는데, 이번에 몽상으로 바꾸어 보았다. 이루기 어려운 비현실적인 소망으로 꿈이란 단어도 시인의 의도를 잘 보여 주지만, 혼자서 멋대로 해 보는 달콤한 상상이라는 디킨슨 특유의 경쾌한 느낌을 더 살려 보고 싶었다.

뭔가가 되려면, 뭔가를 만들려면 복잡하고 완벽한 조건이 필요한 세상이다. 그걸 갖추려고 안간힘을 쓰는 사람들 속에서 단순하고 소박한 조건을 말하는 시인. 그마저 힘들면 몽상만으로 충분하다는 시인. 이 당찬 시선과 용기, 활달한 상상력 앞에서 가끔 할 말을 잃는다. 그러면서 어느덧 시인의 그 시선과 용기를 배운다. 그냥 얻어진 시선이 아닐 것이기에, 실패와 좌절과 실망과 슬픔과 고통을 오롯이 대면하며 길러 낸 인내가 가능하게 해 준 용기일 것이기에 이 시를 마음에 품으면서 함께 담대해진다.

최근 한 공부 모임에서 이 시를 읽었다. 꿀벌 대란 때문에 이 시가 예기치 않게 호출됐던 것. 꿀벌이 사라진 기후위기의 시절 곡진한 소망을 품는 일의 중요성을 노래한 디킨슨의 시가 환경 위기를 예언하는 시가 됐다. ‘꿀벌이 몇 없다면’이라고 시인이 가정법으로 살린 시적 은유가 믿기 어려운 현실이 된 것이다. 식물의 80%가 꿀벌의 도움으로 열매를 맺으니 꿀벌이 사라지면 식물도 사람도 살기 어려워진다. 꿀벌에 이어 사라질 운명에 처하고서야 인간은 무엇이 잘못됐는지 돌아보지만, 미욱하게도 아직 뭐가 뭔지 제대로 모르는 것 같다.
2022-04-28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