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 짜파구리’ 효과? 라면 수출 역대 최대

‘기생충 짜파구리’ 효과? 라면 수출 역대 최대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2-04-25 20:36
업데이트 2022-04-26 02: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사상 첫 7000만弗 넘어
수입량의 64배… 中 가장 많아

지난달 라면 수출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해 ‘K라면’이 수출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

25일 관세청 등에 따르면 지난 3월 라면 수출액이 7158만 달러(약 895억원)로 전년 같은 달 대비 20.0%, 전월보다 35.8% 증가했다. 월간 라면 수출액이 7000만 달러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전 최대치는 지난해 12월 기록한 6666만 달러였다. 3월 라면 수출량도 2만 119t으로 사상 처음 2만t을 초과하는 등 한국 라면 수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라면 수입과 비교하면 금액(111만 달러)은 64.3배, 물량(152t)은 132.4배에 달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1908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미국(975만 달러), 일본(571만 달러), 태국(290만 달러), 캐나다(289만 달러) 등의 순이다.

라면의 지속적 수출 증가는 ‘한류’의 영향과 코로나19 확산 및 장기화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한 끼 식사이자 비상용으로 한국 라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영화 ‘기생충’에 등장한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를 필두로 방탄소년단(BTS)과 한국 영화·드라마 등에서 한국 라면이 부각되면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런 가운데 동남아 등에서 불닭볶음면 인기가 높아지고, 중동에서 한국 라면의 소비가 증가한다는 긍정적 분석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국내 라면 제조사 대부분이 해외에 공장을 두고 있어 실제 한국 라면의 글로벌 판매액은 수출액보다 많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농심은 국내 수출량과 중국·미국 법인의 직접 생산 판매량이 비슷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종 박승기 기자
2022-04-26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