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꿀벌 4억마리 실종… “양봉농가 살려라”

제주 꿀벌 4억마리 실종… “양봉농가 살려라”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2-04-25 14:03
업데이트 2022-04-25 14: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제주에서도 꿀벌 약 4억 마리가 사라지자 생계 위협에 처한 양봉농가의 회생 지원사업을 펼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총 사업비 11억 5600만원을 투입해 양봉산업을 안정화시킬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행정통계 기준 제주지역 양봉농가는 514농가로 꿀벌을 약 7만 8767군(벌통을 세는 단위)을 키우고 있는데 55.3%에 해당하는 283농가가 피해를 봤다.

농촌진흥청에서 월동 꿀벌 피해원인을 조사한 결과 ▲봄 개화기 이상기온으로 인한 꿀벌 활동 부족 ▲월동기 밀원식물(꽃꿀과 꽃가루를 제공하는 아카시아나무 같은 식물) 조기개화에 따른 꿀벌의 이른 채집활동 ▲꿀벌해충(응애) 방제 미흡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꿀벌이 허약해져 실종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는 지난 2월 6억 6400만원을 투입하여 양봉 등록농가(30군 이상)를 대상으로 597t의 사료를 긴급 지원했으며, 면역증강제 1800개(4500만원)를 지원해 농가경비를 절감시켰다.

또한 예비비 4억 4700만원을 추가 편성해 면역증강제 및 진드기구제약품을 전 농가에 지원할 계획이다.

한인수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월동 꿀벌 피해 재발을 방지하고 제주양봉산업 생산기반 유지 지원을 통해 농가 경영회생 및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며 “면역력이 높은 강성한 꿀벌의 개체 수를 늘려 안정적으로 꿀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제주 강동삼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