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완화 ‘속도조절론’ 속 재건축 기대감 여전…강남·1기 신도시 강세

규제완화 ‘속도조절론’ 속 재건축 기대감 여전…강남·1기 신도시 강세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2-04-21 15:57
업데이트 2022-04-21 15: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은 3주 연속 보합…‘집무실 이전’ 용산 여전히 강세
수도권은 양극화…전국 전셋값 -0.01% 지난주 낙폭 유지

4월 셋째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4월 셋째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부동산 규제 완화 속도조절론 속에서 집무실 이전 이슈가 있는 서울 용산구와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강남과 1기 신도시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였다.

2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은 보합, 전세 가격은 0.01% 하락했다.

서울도 이달 들어 3주 연속 보합으로 제자리걸음을 했다.

대선 이후 재건축 단지와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조금씩 늘고 있지만 인수위가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해 속도조절 의사를 밝히며 매수세가 적극적으로 유입되지는 않는 분위기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예정된 용산구(0.03%)는 재건축 위주로 신고가를 경신하며 상승했고, 강남구·서초구도 대형 위주로 신고가가 거래되며 각각 0.03% 올랐다. 양천구(0.02%)도 목동신시가지 위주로 상승했다.

그러나 중저가 지역은 대체로 매수 우위 시장 지속되고 급매물 위주로 거래돼 대체로 호가보다 낮은 수준으로 하락세를 지속했다.

인수위가 다음달 11일부터 다주택자의 양도소득세 중과를 1년간 한시 배제하기로 하면서 중저가 단지 위주로 매물이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도시는 재건축이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가격 상승폭이 지난주보다 커진 모양새다.

분당신도시가 있는 성남 분당구와 일산신도시가 있는 고양시는 지난주 각각 0.01%에서 이번 주 0.02%로 오름폭이 커졌다.

이에 비해 경기 화성시는 이번 주 0.12% 하락하며 내림세가 이어졌고, 용인 수지(-0.15%), 과천·오산(각 –0.09%), 의왕(-0.08%), 부천(-0.07%) 등은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커지면서 수도권 내에서도 가격이 양극화되고 있다.

지방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1% 상승했다.

전셋값은 전국이 0.01% 하락하며 지난주의 낙폭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0.01%)과 경기(-0.01%), 인천(-0.04%) 등 수도권은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다소 줄었다.

전세 대출 규제가 풀리면서 일부 싼 전세 위주로 물건이 소진된 영향으로 보인다.
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