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생산자물가 한 달 새 1.3% 뛰어, 5년 2개월 만에 최대 폭

3월 생산자물가 한 달 새 1.3% 뛰어, 5년 2개월 만에 최대 폭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2-04-21 09:20
업데이트 2022-04-21 09: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세 물가 상승 압력 지속

지난달 국내 생산자물가가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생산가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6.46(2015년 수준 100)으로, 한 달 전보다 1.3%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8.8% 올랐다. 전월 대비 기준으로 생산자물가는 올해 들어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상승폭은 2017년 1월 이후 5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2월 114.95로 역대 가장 높았지만, 3월 또다시 오르면서 한 달 만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손진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공산품 지수가 계속 오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생산자물가가 높아지면 상품 생산 비용이 그만큼 증가하는 의미다. 높아진 생산 비용은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생산자물가 중 공산품은 석탄·석유제품(15.6%), 화학제품(2.8%) 등을 중심으로 한 달 전보다 2.3% 올랐다. 석탄·석유제품 지수(194.75)와 화학제품 지수(121.21)는 각각 역대 최고치다. 곡물, 유연탄, 액화천연가스(LNG) 등 주요 생산 연료 가격이 오르면서 음식·숙박(0.9%), 농림수산품(0.2%), 전력·가스·수도·폐기물 부문(0.2%)도 상승했다.

홍인기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