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열리는 ‘2022 연고전’…“최선 다해 화합의 장 만들 것”

3년 만에 열리는 ‘2022 연고전’…“최선 다해 화합의 장 만들 것”

박상연 기자
박상연 기자
입력 2022-04-17 14:44
업데이트 2022-04-17 15: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려대·연세대 두 응원단장 인터뷰
“함께 즐기는 응원의 가치 위해 노력”
안현태 고려대학교 응원단장(왼쪽)과 김윤성 연세대학교 응원단장.
안현태 고려대학교 응원단장(왼쪽)과 김윤성 연세대학교 응원단장.
코로나19 핵심 방역 수단이었던 ‘사회적 거리두기’가 18일 종료되면서 2년 넘게 중단됐던 대학가의 축제도 복원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경희대를 비롯해 서울대와 중앙대, 성균관대, 한국외대 등이 잇따라 대면 축제를 개최하기 위해 준비하는 상황에서 고려대와 연세대도 ‘2022 연고전’을 오는 9월 재개하는 방향으로 합의하고 향후 구체적인 일정 등을 논의한다. 이에 따라 두 학교 응원단도 분주한 모습이다.

응원단을 이끄는 두 응원단장은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되지 않은 만큼 신중하게 행사를 준비하고 있지만 “캠퍼스 활기를 되찾은 것 같다”며 반기는 분위기다.

두 학교 대항전은 축구·농구·야구·아이스하키·럭비 등 구기종목 5개 경기를 이틀간 치르는 연례 행사다. 일제강점기 비정기적으로 운영하다 1956년부터 관례 행사로 자리잡았다. 짝수 해는 고려대가, 홀수 해는 연세대가 주최하고 명칭은 주최 대학 이름이 뒤로 간다.

안현태 고려대 응원단장은 “3년 만에 재개하게 돼 너무 기쁘고 학우분들이 그동안 누리지 못한 응원 문화를 보여 주고자 더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김윤성 연세대 응원단장 역시 “응원의 본질은 ‘대면’인 만큼 다른 학우와 어깨동무하고 함께 소리 높이며 자신이 속한 팀을 응원하는 경험을 더 빛낼 수 있도록 열심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들에게 가장 급한 과제는 코로나19로 생긴 응원 문화에 대한 공백을 메우는 일이다. 20·21학번 응원단원과 학생들은 두 차례 대항전을 경험하지 못해 응원 구호나 동작이 생소할 수밖에 없다. 김 단장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응원 방법을 간단하게 안내하는 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응원은 자발적으로 함께 참여할 때 더욱 의미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어려움을 견디며 준비하는 응원단의 구슬땀은 더욱 값지다. 안 단장은 “응원 동작이 큰 만큼 마스크를 쓰고 연습하는 게 힘들지만 시험 기간을 빼고 평소 일주일에 10시간 정도 다 같이 모여 준비한다”고 말했다.

두 단장은 최선과 공정의 가치를 나누자는 덕담을 나눴다. 안 단장은 “‘고연전’에서는 서로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 평소에는 서로의 고충을 너무 잘 아는 사이인 만큼 친하게 지내면 좋겠다”고 말을 건넸다. 김 단장은 “‘연고전’에서 두 응원단의 노력과 학생들의 참여로 공정한 선의의 경쟁을 하면서 화합의 장을 만들자”고 화답했다.
박상연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