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베이커리서 ‘파오차이’ 표기…서경덕 “잘못된 표기 바로잡아야”

국내 베이커리서 ‘파오차이’ 표기…서경덕 “잘못된 표기 바로잡아야”

임효진 기자
입력 2022-04-11 09:26
업데이트 2022-04-11 09: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명 베이커리가 출시한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한 ‘남작 김치고로전’. 사진=서경덕 교수 제공
유명 베이커리가 출시한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한 ‘남작 김치고로전’. 사진=서경덕 교수 제공
국내 유명 베이커리가 출시한 신제품에 김치가 ‘파오차이’(泡菜)로 표기된 것과 관련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조금 더 신경을 썼으면 좋겠다”고 질타했다.

11일 서 교수가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해당 베이커리는 ‘납작 김치고로전’ 상품명을 중국어로 ‘泡菜炸煎餠’이라고 번역했다. ‘파오차이’(泡菜)는 양배추나 고추 등을 염장한 중국 쓰촨(四川) 지역의 절임 식품으로, 서양의 ‘피클’에 가까운 음식이다.

앞서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는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음식 김치의 중국어 번역 및 표기를 ‘신치’(辛奇)로 명시했다.

이를 두고 서 교수는 “지난해 한 편의점에서 주먹밥에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해 큰 논란이 됐는데, 최근 많은 팔로워가 공통으로 유명 베이커리의 신제품에서 같은 오류를 제보했다”며 “또다시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어느 특정 회사를 비방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아직도 우리 생활 곳곳에 남아있는 잘못된 표기가 안타깝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이같은 사실을 공개하는 이유에 대해 중국이 지속적으로 ‘김치 공정’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관영 매체인 환구시보와 글로벌타임스의 김치 도발 기사, 중국 최대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 백과사전의 김치 왜곡 등을 그는 ‘동북공정’(東北工程)에 빗대 ‘김치 공정’이라고 불렀다. 동북공정은 고구려와 발해까지 중국의 역사로 만들려는 중국의 역사 왜곡을 일컫는다.

서 교수는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대응으로 중국의 왜곡을 바로잡아야만 한다”며 “특히 중국 측에 빌미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잘못 사용하고 있는 표기 역시 바로 잡아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무쪼록 기업, 공공기관, 민간부문에서 조금만 더 신경을 썼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임효진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