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새 종정 추대 법회…성파스님 “화합하고 초발심으로 돌아가자”

조계종 새 종정 추대 법회…성파스님 “화합하고 초발심으로 돌아가자”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2-03-30 18:17
업데이트 2022-03-30 18: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대통령 참석해 “대립과 갈등 넘어 화합·통합 시대로”

이미지 확대
30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마당에서 열린 제15대 종정 추대법회에서 성파스님이 법상에 앉아 법문을 하고 있다.  조계종 제공
30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마당에서 열린 제15대 종정 추대법회에서 성파스님이 법상에 앉아 법문을 하고 있다.
조계종 제공
조계종 새 종정에 성파스님을 추대하는 법회가 30일 봉행됐다.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마당에서 문재인 대통령 내외를 비롯해 불교계 인사, 이웃종교 지도자, 정·관계 인사, 신도 등 약 30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봉 성파 대종사 제15대 종정 추대법회’가 열렸다. 현직 대통령이 조계종 종정 추대법회에 직접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영축총림 통도사에서 종정 예하를 여러 번 뵌 적이 있다”면서 “그때마다 큰 가르침을 받았고, 정신을 각성시키는 맑고 향기로운 기억으로 간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종정 예하는 모두를 차별 없이 존중하고 배려하는 ‘상불경 보살’의 정신과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선한 마음을 강조하셨다”면서 “그 가르침대로 우리 사회가 갈등과 대립을 넘어 화합과 통합의 시대로 나아가길 바라마지 않는다”고 했다.

대웅전 계단 위에 마련된 법상에 앉은 성파스님은 “특별한 법문은 많이 준비를 했는데, 양산 통도사에서 오는 동안에 싹 다 잊어버렸다”며 준비한 원고 대신 즉석 법문을 했다.
이미지 확대
30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제15대 종정 추대 법회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새 종정 성파스님이 입장하고 있다. 조계종 제공
30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제15대 종정 추대 법회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새 종정 성파스님이 입장하고 있다.
조계종 제공
성파스님은 “계절의 봄은 분명히 왔지요. 꽃이 피었지요”라면서 “우리 마음은 왜 그리 꽃을 못 피우는지 이 사회에, 세계에 얼어붙은 마음을 따스한 화합하는 기분으로 굴려 인간의 얼굴에 웃음꽃이 필 수 있도록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 불자의 임무와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초발심으로 돌아가자. 이때까지 있던 거 싹 지워버리고, 새로 출발한다면 우리 가정, 사회, 국가가 새로 출발할 수 있지 않겠나 생각한다”고도 덧붙였다.

종정 성파스님은 1960년과 1970년 월하스님에게 각각 사미계와 구족계를 받았다. 1971년 통도사 승가대학을 졸업한 뒤 통도사에서 불경을 가르치는 강주를 지냈고 2018년부턴 통도사 방장을 맡아왔다. 선수행에도 밝아 봉암사 태고선원에서 안거에 든 이래 상원사 청량선원, 통도사 서운암 무위선원 등에서 총 27안거를 지냈다.

또 교육과 문화활동에도 관심을 가져 1980년 학교법인 원효학원 이사장을 지냈고 1988년 영축학원을 설립해 종립학교 발전에 힘썼다. 전국 시조백일장을 제정해 한국 시조문학 발전에도 기여했고 영축전통문화연구원 및 한국전통문화연구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특히 서화와 염색, 옻칠 민화 등으로 개인전을 비롯해 20차례 전시회에서 작품을 선보였다. 전통 기법으로 된장과 고추장 등을 담가온 것도 유명하고, 1991년부터 10여년에 걸쳐 ‘16만 도자대장경’을 조성하기도 했다.

조계종 종헌에 따르면 종정은 종통을 승계하는 최고의 권위와 지위를 갖는다. 총무원장이 종무행정을 총괄한다면 종정은 종단의 정신적 지도자 역할을 한다. 주요 행사 때 법어를 내려 세상에 불교 가르침을 전하기도 한다. 임기는 5년이다.
허백윤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