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분의 1의 기적을 기부한 20대 경찰관

2만분의 1의 기적을 기부한 20대 경찰관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2-03-22 20:42
업데이트 2022-03-23 08: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제주경찰청 제공
제주경찰청 제공
환자와 기증자 간의 유전자가 일치할 확률은 2만분의 1(0.005%)….

제주의 한 경찰관이 부모·형제도 아닌 한번도 본 적이 없는 타인과 조혈모세포(혈액을 만드는 어머니 세포)가 일치해 기증하는 기적에 가까운 일이 벌어져 화제가 되고 있다.

22일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제주해안경비단 1경비대에서 근무하는 안병우(26·경찰대 36기) 경위가 그 주인공.

안 경위는 22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경비단 직원 중 자녀가 병을 앓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듣고 동료들과 단체로 기증 등록을 했는데 지난해말 쯤 연락이 와서 기증을 하게 됐다”며 덤덤히 말했다.

지난달 15일 서울 마곡 이대서울병원에 입원한 그는 시술 3일전부터 조혈모세포(백혈구) 촉진주사를 맞았다. 입원 당일에도 맞고 입원 둘째날 오전 9시 헌혈하듯 5시간 가까이 채취했는데 채취한 양이 부족해서 다시 주사를 맞고 추가로 채취하는 우여곡절 끝에 성공했다.

후유증은 없었냐는 질문에 “어릴 때부터 잔병치레를 많이 해 허약한 체질이어서 부모님이 많이 걱정했다”며 “처음엔 요통, 고관절, 두통, 근육통 등 통증이 심했지만 지금은 혈압이 조금 높은 것 빼고는 거뜬하다”고 말했다.

오히려 “2박 3일 병가를 쓰고 추가 휴가까지 내서 직장에 민폐를 끼쳤는데 출근할 때마다 대대장 등 상사와 동료들이 녹채소즙을 건네주는 등 챙겨준다”며 고마워했다.

조혈모세포의 기증자와 수혜자는 서로간의 정보를 교환 할 수 없다. 악용될 소지가 있어 누구에게 기증됐는지 조차 알 수 없다. 안타까운 것은 매년 수혜 받아야 하는 사람은 늘어나는데 기증 등록하는 사람은 적다는 점이다. 설령 기증 등록을 하더라도 동의해서 기증까지 이어지는 사례는 매우 적다. 지난해 조혈모세포 기증자는 400명으로, 이식 대기자 4496명에 비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안 경위는 “환자와 기증자의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해야 한다 해도 두려움 때문에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사람 목숨 살리는 일에 용기를 내서 많이 동참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제주 강동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