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OTT… ‘비대면 특화 카드’ 시대

배달·OTT… ‘비대면 특화 카드’ 시대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2-03-16 17:22
업데이트 2022-03-17 02: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 ‘톡톡 알파벳 카드’ 네 가지
‘D’ 카드, 배달앱 주문 50% 할인
신한 ‘퍼즐 카드’ 혜택 선택 가능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확산 이후 신용카드사들이 배달앱이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특정 분야에 최적화된 혜택을 담은 카드를 내놓고 있다. 이에 소비자는 평소 소비가 활발한 분야나 소비 습관을 토대로 할인이나 적립 등 혜택이 가장 큰 카드를 선택하고 있다. 이른바 ‘특화 카드 전성시대’에 소비자의 눈길을 사로잡는 상품들을 16일 살펴봤다.

우선 코로나19 확산 이후 비대면이 대세가 된 만큼 관련 카드가 눈에 띈다. KB국민카드가 최근 출시한 톡톡 알파벳 카드(왼쪽)는 모두 네 가지 종류로 구성돼 있다. 패션(F), OTT(O), 쇼핑 멤버십(M), 배달앱(D) 등 각 분야별로 특화된 혜택을 담고 있다. F카드는 브랜디·에이블리 등 패션 플랫폼에서, D카드는 배달의 민족·요기요 등에서 결제하면 50% 할인(1만원 한도)을 받는다. O카드는 넷플릭스·웨이브 등에서, M카드는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쿠팡로켓와우 등에서 결제카드로 지정하면 1만원 한도에서 100% 할인된다.

이 밖에도 온라인 간편결제 시 10% 할인, 대중교통 5% 할인, 편의점 5% 할인도 각각 월 3000원 한도까지 가능하다. 전월 이용실적이 30만원 이상이어야 한다. 연회비는 1만 2000원(모바일 전용카드만 발급 시 6000원)이다.

신한카드가 내놓은 퍼즐 카드(오른쪽)는 MZ세대 소비 패턴을 분석한 맞춤형 카드다. 한 달 단위로 사용한 카드 대금을 원하는 결제일에 납부할 수 있고, 전월 이용실적이 할인 요건에 못 미치면 실적을 이월할 수 있다. 퍼즐을 맞추는 것처럼 원하는 서비스를 조합할 수도 있다. 이용금액 0.2% 추가 적립이 제공되는 ‘부스터팩’, 최대 9만 포인트까지 추가 적립해 주는 ‘포인트플러스팩’, 승인번호에 따라 포인트를 추가 적립해 주는 ‘럭키팩’, ‘결제주기 관리서비스’ 등 네 가지 기본 서비스팩 중 자신에게 맞는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 디지털콘텐츠, 온라인쇼핑, 배달앱, 반려동물, 교통, 식음료 등 여섯 가지 선택 서비스팩 중 두 가지를 고를 수 있다. 선택한 분야에서 최대 30%까지 적립할 수 있고, 서비스팩 한 개당 연간 이용료 5000원을 내야 한다. 연회비는 국내 전용 1만 5000원(해외 겸용 1만 8000원)이다.

홍인기 기자
2022-03-17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