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공급 불안·유로 약세 심화 땐 한국 직격탄”

“원자재 공급 불안·유로 약세 심화 땐 한국 직격탄”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2-03-10 03:56
업데이트 2022-03-10 05: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대 증권사, 금융시장 영향 진단

대러 경제 제재 강도·범위가 ‘변수’
연준 금리 인상 셈법 복잡해질 수도

이미지 확대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대외적 리스크가 겹치면서 국내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금융 전문가들은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로 촉발된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 제재의 영향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정학적 환경 변화로 연준의 금리 인상 셈법이 복잡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국내 5대 증권사(미래에셋·한투·삼성·NH농협·KB) 리서치센터장들은 9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국내 금융시장의 피해는 제한적이겠지만 글로벌 리세션(경기 하강)이 우려된다”고 입을 모았다. 대러시아 경제 제재로 원자재 공급이 막히고 유로화 약세가 심화하면 원자재 가격 상승과 달러 강세가 동시에 벌어져 한국과 같은 신흥시장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서철수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과거에도 지정학적 리스크가 시장에 결정적인 변수가 된 경우는 드물었다”며 “다만 서방의 대러시아 봉쇄 강도 및 범위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승창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중장기적으로 미국 대 러시아·중국으로 글로벌 경제 블록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글로벌 공급망에 변화를 일으켜 소규모 개방 경제인 한국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진단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 미국의 경기 둔화가 지속돼 급격한 금리 인상에 대한 부담감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윤석모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현재 올 연말 미국의 기준금리가 1.75~2.0%대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 연말 기준 1.0% 수준으로 금리 인상 폭이 작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연준은 선행지표인 장단기 스프레드(금리차)가 급락하는 가운데 후행지표인 물가는 급등하는 국면에서 기대인플레이션이 물가를 상승시키면 경기 부양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금리 인상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었다”면서 “그런데 지난 1월 미국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이후 미국의 경기 여건이 연내 6~7회의 금리 인상을 감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있다”고 말했다.

센터장들은 올해 국내외 선거 등 정치적 일정이 금융시장의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유종우 한투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우리나라의 대선에 이어 6월 지방선거, 프랑스의 4월 대선, 중국의 10월 당대회, 미국의 11월 중간선거 등이 줄줄이 예정돼 있다”며 “특히 우리 대선 이후 신정부의 산업 육성 및 세금 정책 등에 따라 금융시장의 향방이 갈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희리 기자
2022-03-10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