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빵지순례/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빵지순례/전곡선사박물관장

입력 2022-03-01 20:36
업데이트 2022-03-02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지금은 거의 없어진 경양식집이 성업하던 시절 경양식집에는 예의 ‘정식’이라는 메뉴가 있었다. 아마도 경양식집의 대표 메뉴인 돈가스며 햄버그스테이크를 한꺼번에 내준다 하여 뭔가 그럴싸한 ‘정식’이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았나 싶다. 그 시절 어쩌다 경양식집에서 미팅이라도 하게 되면 호기롭게 정식을 주문하고 밥으로 드릴까요, 빵으로 드릴까요라는 웨이터의 마지막 질문에 늘 빵을 먹는다는 듯한 여유로운 목소리로 빵을 주문했던 기억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을 것 같다. 그때 우리에게 빵은 특별한 음식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빵을 먹은 사람은 1720년 베이징에 외교사절단으로 갔던 이기지라는 분이라고 한다. 그는 가톨릭 성당에서 처음 빵을 맛보았다고 하는데 그 빵이 얼마나 맛있었는지 이기지는 무려 9번이나 성당을 찾아갔다고 한다. 이기지는 빵을 처음 먹어 본 소감을 “부드럽고 달았으며 입에 들어가자마자 녹았으니 참으로 기이한 맛이었다”라는 기록을 남겼는데 그때 이기지가 처음 맛본 빵은 카스텔라로 추정된다고 한다.

인류가 빵을 처음 먹을 수 있게 된 때는 밀농사가 시작된 신석기시대부터다. 약 1만 2000년 전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안정되면서 비로소 밀의 재배를 포함한 농경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수 있었다. 농사를 짓는다는 것은 날씨를 예측할 수 있어야만 가능했기 때문이다.

구석기시대 사람들은 먹거리를 찾기 위해 수렵과 채집의 이동 생활을 했다. 하지만 농사를 짓기 위해 정착하고 가축도 기르기 시작한 신석기 사람들은 이동을 하지 않아도 됐다. 토기까지 만들어 농사지은 곡물을 장기간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완성된 신석기 혁명의 미래는 장밋빛이었다. 하지만 정착해서 한곳에 모여 살게 만든 농경과 목축은 인류를 결코 행복하게만 해 주지는 않았다. 인구가 늘어나면서 곡식은 점점 더 많이 필요해졌고 동물과 함께 살면서 전염병이 늘어났다. 잉여 식량은 분쟁을 낳았다. 인류는 결국 땅에 속박됐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구석기 사람들의 골밀도가 신석기 사람보다 더 높았고 평균 수명도 길었다고 한다. 식량이 풍부해진 신석기 사람들의 영양 상태가 오히려 더 나빠졌다는 것인데, 구석기 사람들이 수렵과 채집으로 다양한 영양소를 얻을 수 있었던 데 반해 신석기 사람들은 곡물의 탄수화물만 주로 섭취했기 때문일 것이다. 한 덩이의 빵을 얻기 위해 온종일 갈돌에 밀을 갈았지만, 그 결과는 영양부족이었다니 참으로 야속한 신석기 혁명이다.

요즘 전국의 유명 빵집을 순례하는 빵지순례가 유행이라고 한다. 고달팠던 신석기 농부들의 수고로움에 감사하는, 그리고 밀가루, 설탕, 계란으로 만든다는 레시피까지 얻어왔지만 결국 맛있는 빵 만들기에 실패하고 낙담했던 이기지를 위로하는 빵지순례를 조만간 떠나야 할 것 같다.
2022-03-02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