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꾼들을 위한 제주올레패스 곧 출시… 탐나는 전처럼 현금결제도 OK

올레꾼들을 위한 제주올레패스 곧 출시… 탐나는 전처럼 현금결제도 OK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2-03-01 11:04
업데이트 2022-03-01 1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제주올레길 10코스 송악산에서 올레꾼들을 안내하는 간세모양의 올레길 표시.
제주올레길 10코스 송악산에서 올레꾼들을 안내하는 간세모양의 올레길 표시.


제주올레길 탐방객이 1000만명을 넘은 가운데 사단법인 제주올레가 3월 중 ‘탐나는전’ 같은 일종의 충전식 화폐 앱 ‘제주올레패스’를 출시한다.

1일 제주올레에 따르면 모바일 패스포트로 휴대전화에 올레패스 앱을 깔아 이용할 수 있다. 올레길을 걷다가 주변 숙소와 식당을 이용할 경우 올레패스로 결제하면 10%이상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현금결제 뿐 아니라 올레길 스탬프 인증도 받을 수 있는, 한마디로 제주올레 여행자를 위한 여행 증명서의 온라인 모델이기도 하다.

코스를 상징하는 스탬프가 담긴 간세모양의 스탬프 박스(시작점, 중간지점, 종점)에서 QR코드를 휴대전화로 인증하면 된다.

백유미 제주올레 홍보마케팅 팀장은 “현장에서 실제로 테스트를 해본 뒤 문제점을 보완해 출시 예정”이라며 “제주올레와 관련한 글과 사진 등을 올리는 콘텐츠도 담아 올레꾼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뚜벅이들의 올레길 걷기사랑은 코로나19도 막지 못했다.

2007년 9월 세상에 첫선을 보인 올레길은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이 산티아고 순례길을 걷다가 생각해낸 집앞 골목길의 확장판이다. ‘놀멍 쉬멍 걸으멍 고치(놀면서 쉬면서 걸으면서 같이) 걷는 도보여행’의 대명사가 된 지 오래다. 올레길을 안내하는 표지인 간세(느릿느릿한 게으름뱅이)처럼 느림의 미학을 느끼며 제주의 속살을 볼 수 있다. 길을 연 지 16년 만에 1005만 7084명의 탐방객이 제주올레 26개 코스를 다녀갔다.

매년 10월 둘째주 열리는 올레길 걷기 축제 열기도 좀처럼 식지 않았다. 코로나19 이전에는 3일동안 3개 코스로 진행되던 대회가 2020년부터 23일동안 23개 코스에서 동시에 열렸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고려해 5일권-10일권-15일권-22일권-완주권으로 나눠 개최했는데도 5842명이 참가하는 기염을 토했다. 올해도 대회를 세분화해서 열릴 지 여부는 아직 유동적이다.

현재 올레길은 21개 정식 코스와 5개 부속 코스를 포함해 모두 26개 코스에 총 길이는 425㎞다.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은 “새로운 올레길 개발은 언제나 열려 있다”며 “점을 선으로 이어가던 길을 앞으로는 선을 면으로 채워가는 길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올레길 8코스 주상절리에 설치된 간세모양 스탬프 박스.
올레길 8코스 주상절리에 설치된 간세모양 스탬프 박스.
글 사진 제주 강동삼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