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러 제재 성과 키 쥔 中… 시진핑·푸틴 밀월 시험대

대러 제재 성과 키 쥔 中… 시진핑·푸틴 밀월 시험대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2-02-23 22:12
업데이트 2022-02-24 0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러 지원땐 제재 충격 상쇄” 분석
우크라 ‘일대일로’ 핵심국 딜레마
‘美 관계 개선·하나의 중국’ 문제도

이미지 확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에 군 병력을 파병하고 이에 미국과 서방 국가들이 제재를 가하면서 중국이 어떤 태도를 취할지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중국이 러시아를 지지하면 ‘미국·유럽연합(EU) 대 중러’라는 신냉전 구도가 확정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밀월 관계가 시험대에 올랐다.

중국은 일단 러시아에 대한 서구세계의 경제·금융 제재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화춘잉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브리핑에서 “제재는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경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2011년 이후 미국의 러시아 제재가 100여 차례가 넘지만 이것으로 세계가 더 좋아졌느냐”고 반문한 뒤 “이번 제재가 우크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진지하게 생각해 보기 바란다”고 했다.

이번 제재가 러시아의 중국 의존도만 높일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의 지원이 대러 제재의 충격을 상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시 주석은 베이징동계올림픽 개회식이 열린 이달 4일 푸틴 대통령을 만나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더 많이 사 주기로 합의했다. 러시아는 EU의 에너지 수입 중단에 맞설 완충지대를 확보했다. 대러 제재 성과의 키를 중국이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시 주석은 우크라이나의 입장도 모른 척할 수 없다. 유럽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우크라이나는 그가 명운을 걸고 추진하는 일대일로(육·해상 실크로드) 추진의 핵심 국가다. 러시아의 파병을 두둔하면 ‘하나의 중국’ 원칙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푸틴 대통령의 논리를 적용해 미국이 ‘친미 세력이 독립을 간절히 원해 이들을 도우러 미군이 대만으로 들어간다’고 해도 중국은 할 말이 없다.

현재 베이징 지도부는 러시아에 힘을 실어 주고 신냉전에 참전하느냐, 서방과의 첨예한 대립을 피하면서 미국과의 장기전을 도모하느냐를 두고 고심하는 것으로 보인다. 라이언 하스 버락 오바마 전 미 대통령 수석 고문은 트위터를 통해 “이번 위기가 중국의 본심을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2022-02-24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