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햄버거·커피값 한눈에 보여준다고 가격 내릴까

치킨·햄버거·커피값 한눈에 보여준다고 가격 내릴까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2-02-17 18:23
업데이트 2022-02-19 13: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23일부터 ‘외식 가격 공표제’
“가격 공개한다고 물가 잡히겠느냐”
음식점 업계에선 회의적 시선 쇄도

황대헌이 콕 집어 말한 치킨 메뉴. 제너시스BBQ 홈페이지 캡처
황대헌이 콕 집어 말한 치킨 메뉴. 제너시스BBQ 홈페이지 캡처
정부가 외식값 인상을 억제한다는 차원에서 치킨·햄버거·커피 등 주요 외식 품목의 브랜드별 가격을 다음주부터 공개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미 알려진 음식 가격을 나란히 공개한다고 해서 물가가 잡히겠느냐는 회의적인 시선도 적지 않다.

17일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3일부터 12개 외식 품목의 프랜차이즈별 가격과 등락률을 매주 공표할 예정이다. 공개 대상 품목은 죽, 김밥, 햄버거, 치킨, 떡볶이, 피자, 커피, 짜장면, 삼겹살, 돼지갈비, 갈비탕, 설렁탕 등 12개다.

가격 정보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운영하는 ‘더(The) 외식’과 농산물유통정보(KAMIS) 홈페이지를 통해 매주 공표한다. 모든 프랜차이즈 음식점의 가격이 공개되는 건 아니고, 가맹점 수가 많은 브랜드의 주요 메뉴 가격만 공개된다. 정부 관계자는 “가맹점 수가 100개 이상인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되 삼겹살 등 가맹점 수가 많지 않은 품목은 가맹점 수가 100개 미만이더라도 매출액을 토대로 상위 업체를 선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경쟁 업체 간 음식 가격의 변동 상황을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하면 외식 업체들이 가격 인상에 신중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음식점 업계에서는 정부의 외식 가격 공표제가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한 유명 치킨 프랜차이즈 점주는 “음식별로 고객 선호도가 다르고 가격은 이미 배달앱을 통해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값을 경쟁적으로 낮추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물가 상승의 책임을 외식 업체들에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세종 이영준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