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기준금리 인상, 가계대출만 옥죄…가계대출 2개월 연속 감소 VS 기업대출 사상 최대 증가

대출 규제‧기준금리 인상, 가계대출만 옥죄…가계대출 2개월 연속 감소 VS 기업대출 사상 최대 증가

김승훈 기자
입력 2022-02-10 16:47
업데이트 2022-02-10 16: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계대출이 지난해 12월에 이어 올해 1월까지 사상 처음으로 2개월 연속 감소했다. 반면 기업대출은 한 달 새 13조원 이상 늘면서 1월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의 고강도 대출 규제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대출에만 영향을 미치고, 규제가 느슨한 기업대출은 불어나게 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한은의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60조 2000억원으로 전달보다 4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12월(-2000억원)에 이어 두 달째 내리 줄었다. 은행 가계대출의 2개월 연속 감소는 2004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은 781조원으로, 한 달 새 2조 2000억원 늘었다. 집단대출 취급 증가 영향이 컸다. 신용대출이 대부분인 기타대출은 2조 6000억원 줄었다. 감소폭이 12월(-2조 2000억원) 보다 크고, 1월 기준 2009년 1월(-3조 2000억원) 다음으로 역대 두 번째로 감소폭이 컸다. 한은은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은 명절, 성과급 등 계절적 요인도 있는 만큼, 가계대출 감소가 추세로 이어질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기업대출 잔액은 1079조원으로, 전달보다 13조 3000억원 불었다. 1월 기준 2009년 6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중소기업 대출이 코로나19 금융 지원 지속과 시설자금·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9조 2000억원이나 늘었는데, 이 또한 1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이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의 상반된 결과는 금리 차이에 기인한다. 지난해 12월 기준 가계의 가중평균 대출금리는 3.66%(신규취급액 기준)인 반면 기업의 평균 대출 금리는 3.14%로 가계대출 금리가 기업대출보다 더 높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옥죄니 은행들은 기업대출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면서 “기업 중에서도 중소기업이 주로 대출을 받는데, 담보가 있는 가계대출보다 부실 위험이 커 재정까지 위험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승훈·황인주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