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부실채권 비율 또 역대 최저인데… 대손충당금 쌓아두는 이유는

은행 부실채권 비율 또 역대 최저인데… 대손충당금 쌓아두는 이유는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1-11-30 15:44
업데이트 2021-11-30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월말 기준 0.51%... 0.03%p 하락
코로나19 지원 착시효과 우려도

국내 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이 또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부터 다섯 분기 연속 최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기업들의 대출 만기와 이자상환 유예 연장 등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금융지원정책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이미지 확대
금융감독원은 지난 9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고정이하여신)이 전분기 말 대비 0.03%포인트 하락한 0.51%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하면 0.14%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부실채권 금액은 11조 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조원, 전분기 말보다는 3000억원 각각 감소했다.

기업 여신이 10조 3000억원으로 전체 부실채권의 86.2%를 차지했다. 가계 여신이 1조 5000억원, 신용카드 채권이 100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부문별로는 기업 여신의 부실채권 비율이 0.72%로 2분기보다 0.04%포인트 내렸다. 대기업여신(0.97%), 중소기업 여신(0.60%), 개인사업자 여신(0.22%)은 각각 전 분기보다 0.03%포인트, 0.05%포인트, 0.01%포인트 하락했다.

가계 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0.17%로 전분기보다 0.01%포인트 내렸다. 주택담보대출과 기타 신용대출은 각각 전분기보다 0.01%포인트 내린 0.12%, 0.27%였다.

주요 시중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평균 0.26% 수준이었다. 지방은행과 인터넷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각각 0.46%와 0.26%로, 농협, 수협, 기업은행, 산업은행 등 특수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0.91%로 각각 집계됐다.

3분기 신규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2조 9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3000억원 늘었다. 기업 여신 신규 부실이 2조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불어난 영향이다. 가계 여신 신규부실은 2분기와 비슷한 5000억원이었다.

부실채권 비율이 최저 기록을 갱신하고 있지만 건전성이 개선됐다기보다 코로나19 정책지원에 따른 착시효과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은행들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부실이 수면 위로 올라올 경우에 대비해 대손충당금 적립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손충당금은 은행들이 대출해준 돈을 떼이는 상황에 대비해 쌓아두는 자금이다. 대손충당률 적립률은 156.7%로 전분기 대비 1.6%포인트 늘었다. 전년 동기 대비 26.1%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