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년전 반려견? 창녕 고분서 ‘순장견’ 3마리 흔적 찾았다

1600년전 반려견? 창녕 고분서 ‘순장견’ 3마리 흔적 찾았다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1-11-30 09:59
업데이트 2021-11-30 1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63호분에서 나온 순장견 뼈. 2021.11.3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63호분에서 나온 순장견 뼈. 2021.11.3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63호분에서 나온 개 3마리중 일부 유체의 모습. 2021.11.3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63호분에서 나온 개 3마리중 일부 유체의 모습. 2021.11.3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지난 2019년 11월 발견된 경남 창녕군 교동 63호분에서 무덤주인과 함께 묻힌 순장견(殉葬犬)으로 추정되는 흔적이 확인됐다.

30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국가사적인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의 63호 무덤을 최근 수습 조사하는 과정에서 고분 주인의 매장 영역 앞에 따로 마련된 공간에서 순장견(殉葬犬) 세 마리의 유체 흔적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소는 지난 2014년 4월부터 올해 6월까지 34기의 고분을 조사했다. 63호 고분은 고분군의 가장 높은 지점에 만들어진 39호 고분에 덮여 존재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다. 가야 고분으로는 드물게 도굴 피해 없이 온전히 남아있어 당시의 매장관습과 문화상, 고분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귀한 연구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개들의 유체는 무덤 주인의 주검이 안치된 묘실 공간의 출입구 북서쪽 주변에 길이 1m 내외로 따로 파서 만든 작은 석곽(石槨) 안에 있었다. 세 마리가 나란히 포개어진 채 매장됐는데, 크기를 잴 수 있었던 건 1개체에 불과했다. 어깨높이는 약 48㎝로 오늘날 진돗개와 비슷한 체격이었다.

연구소 측은 “순장된 동물 유체가 해체되지 않고 이렇게 온전한 모습으로 나온 것은 매우 드문 사례”라고 전했다.
순장조 개들이 나온 63호분의 출토 지점을 옆 쪽에서 보며 찍은 사진. 2021.11.3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순장조 개들이 나온 63호분의 출토 지점을 옆 쪽에서 보며 찍은 사진. 2021.11.3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앞서 교동 7호분의 경우 출입구에 다수의 개를 매납한 흔적이 있었고, 교동 14호분도 개의 뼈를 가지런히 모아 입구 부분 안쪽에 놓아둔 사례가 확인된 바 있다.

하지만 69호분처럼 별도로 조성한 공간에 개를 나란히 포개어 순장한 사례는 흔치 않다.

그동안 교동고분군에서 출토된 개 유체들의 매장위치는 한결같이 매장된 무덤주인의 공간과 바깥을 연결하는 곳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69호 무덤 조사에서 확인된 순장견들의 유체 또한 무덤의 들머리에 바깥 방향을 향한 모습으로 놓여있었다. 이런 공통점으로 미뤄 조사단은 순장견들이 백제 무령왕릉에서 확인된 석수(국보)처럼 무덤을 지키는 수호동물(진묘수) 구실을 했던 것으로 보고있다.

현재 순장견들의 유체는 연구소 보존과학 팀에서 거두어 보존처리 작업을 벌이고 있다. DNA 분석을 마친 뒤 관련 기관과 공동연구 등을 통해 당시 가야산 개의 종 복원 등도 시도할 계획이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서 나온 개 뼈. 2021.11.3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서 나온 개 뼈. 2021.11.3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김민지 기자 mingk@seoul.co.kr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