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한미일 고위인사와 글로벌 공급망 논의

최태원, 한미일 고위인사와 글로벌 공급망 논의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1-11-29 20:30
업데이트 2021-11-30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6~8일 美워싱턴DC서 TPD 첫 개최
패권경쟁 등 지정학적 분쟁 해결안 모색

이미지 확대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한국과 미국, 일본 전·현직 고위 관리, 학계, 재계 인사들과 함께 미중 패권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지정학적 분쟁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최 회장이 이사장을 맡고 있는 최종현학술원은 다음달 6~8일 미국 워싱턴DC 교외 샐러맨더에서 ‘제1회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rans-Pacific Dialogue 2021)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TPD는 최 회장이 수년간 구상해 만든 플랫폼으로, 지정학적 위기 해법과 경제·외교적 대안 제시를 목표로 한다. 최 회장은 그간 범태평양 지역의 민간외교와 정책 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이번 TPD는 ▲미중 전략 경쟁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미일 협력 ▲북핵 문제와 한미동맹 ▲첨단 과학기술 혁신이 지정학에 미치는 영향 ▲반도체·배터리·백신 분야 글로벌 공급망의 미래 등 5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최종현학술원 측은 “첫 TPD에서는 경제 현안으로 떠오른 글로벌 공급망 문제는 물론 미중 패권 경쟁과 북핵 등 안보 이슈, 첨단기술을 둘러싼 무한경쟁 등 범태평양 국가나 기업들이 마주한 도전 과제에 대한 해법을 찾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최 회장은 처음 열리는 TPD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올해 초부터 의제 설정 과정을 일일이 챙기고, 일부 인사들에게는 여러 차례 연락해 참석 수락을 확인하는 등 상당한 공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측에서는 척 헤이글 전 국방부 장관, 리처드 아미티지 전 국무부 부장관, 웬디 커틀러 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수석대표 등 전직 고위 관료가 참석한다. 일본에서는 나가시마 아키히사 전 방위성 부대신, 후지사키 이치로 나카소네 평화연구소 이사장 등이 참여하고 한국에서는 최 회장을 비롯해 이홍구 전 국무총리, 정재호 서울대 교수, 이숙종 성균관대 교수, 박철희 서울대 교수 등이 참석한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21-11-30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