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빈 손목 부상 재발 어쩌나…두 개 복식 기권으로 첫 세계선수권 마감

신유빈 손목 부상 재발 어쩌나…두 개 복식 기권으로 첫 세계선수권 마감

최병규 기자
입력 2021-11-26 16:47
업데이트 2021-11-26 17: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대성과의 혼합복식 2회전 앞두고 ‥ 전지희와의 여자복식도 기권
여자단식 1회전에서 재발한 손목 부상 탓 ‥ 2회전은 울면서 경기

끝내 손목 부상이 말썽을 부렸다. 신유빈(17·대한항공)의 첫 세계선수권대회 도전이 고질적인 손목 부상이 재발하면서 허무하게 끝났다.
신유빈이 26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세계탁구선수권대회 파이널스 여자복식 2회전을 앞두고 기권, 난처한 표정을 지으며 코칭스티프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대한탁구협회 제공]
신유빈이 26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세계탁구선수권대회 파이널스 여자복식 2회전을 앞두고 기권, 난처한 표정을 지으며 코칭스티프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대한탁구협회 제공]
신유빈은 25일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릴 예정이던 세계탁구선수권대회 파이널스 혼합복식 2회전을 앞두고 기권했다. 신유빈은 이틀 전 조대성(19·삼성생명)과 호흡을 맞춘 1회전에서 세계대회 첫 승을 신고, 16강을 노리던 중이었다.

신유빈이 부상으로 하차하면서 전지희(포스코에너지)와 출전하려뎐 여자복식 2회전(32강)도 무산됐다. 

신유빈의 기권은 대회 대회 첫 날 열린 세계랭킹 17위 수와이얌 미니(홍콩)와의 여자단식 1회전에서 오른 손목 피로골절이 재발해 경기를 치르지 못하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신유빈은 올해 2020 도쿄올림픽, 아시아선수권을 잇달아 소화하는 강행군 속에 손목 피로골절 부상을 당했다. 이달 초 국내 올스타 탁구대회에 불참하면서 부상 회복에 집중했다. 한동안 라켓을 쥐고 하는 훈련을 멈췄고, 손목을 쓰지 않는 체력훈련만 했다.
신유빈이 25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탁구세계선수권대회 여자단식 2회전에서 사라 드뉘트의 강력한 스매싱을 악착같은 맞스매싱으로 받아넘기고 있다. [대한탁구협회 제공]
신유빈이 25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탁구세계선수권대회 여자단식 2회전에서 사라 드뉘트의 강력한 스매싱을 악착같은 맞스매싱으로 받아넘기고 있다. [대한탁구협회 제공]
대표팀 지도자들과 아버지 신수현씨는 세계선수권 출전을 만류했다. 그러나 생애 첫 세계선수권에 출전해 더 성장하고픈 신유빈의 굳은 의지를 꺾지 못했다.

추교성 여자 대표팀 감독은 “대회 직전 병원에서 (신)유빈이가 대회 출전은 가능하지만 오른 손목에 일정 수준 이상으로 힘을 주면 부상이 악화할 수 있다는 소견을 들었다”고 전했다.

추 감독은 이어 “유빈이가 사라 드뉘트와의 단식 2회전에서는 거의 울면서 플레이했다”고 전했다. 신유빈은 당시 세트 3-3의 호각세에서 마지막 7번째 세트를 이기다 내리 넉 점을 실점하면서 눈물을 뿌렸다. 
이미지 확대
미국 휴스턴에서 개막한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 생애 첫 출전한 신유빈이 23일(현지시간) 홍콩의 미니 수를 상대로 한 여자단식 1회전에서 서브를 위해 토스한 공을 집중해 바라보고 있다.[대한탁구협회 제공]
미국 휴스턴에서 개막한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 생애 첫 출전한 신유빈이 23일(현지시간) 홍콩의 미니 수를 상대로 한 여자단식 1회전에서 서브를 위해 토스한 공을 집중해 바라보고 있다.[대한탁구협회 제공]
상대를 몰아치다가도 갑자기 흐름을 빼앗기는 등 들쭉날쭉한 경기력으로 팬들을 걱정하게 했는데, 그 이유도 결국 손목 부상에 따른 통증 때문이었다.

신유빈은 새달 17일부 시작하는 국가대표 선발전까지 회복에 전념해야 한다. 선발전에 출전하지 못하면 2022년 항저우아시안게임에 나갈 수 없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